한미약품(대표이사 박재현)이 차세대 표적 항암제 ‘EZH1/2 이중 억제제(HM97662)’의 유효성 예측을 위한 신규 바이오마커를 발굴, 정밀의학 기반 신약 개발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
한미약품은 지난 2일부터 4일(현지시각)까지 미국 보스턴에서 열린 ‘2025 바이오 IT 월드 컨퍼런스 & 엑스포(Bio-IT World Conference & Expo)’에서 HM97662 관련 연구 성과를 발표했다고 7일 밝혔다.
백승헌(오른쪽) 한미약품 R&D센터 연구원이 지난 4일(현지시각) 열린 'Bio-IT World Congerence&Expo'에서 차세대 항암 신약 'EZH1/2 이중 저해제(HM97662)'의 주요 연구 내용이 담긴 포스터를 토대로 참석자에게 설명하고 있다. [사진=한미약품]EZH1과 EZH2 단백질은 암세포의 성장과 분화를 조절하는 핵심 인자로, 이를 동시에 억제할 경우 암 유발 복합체인 PRC2(Polycomb Repressive Complex 2, 폴리콤 억제 복합체 2)의 기능을 차단해 항암 효과를 높일 수 있다. HM97662는 이러한 이중 억제 기전을 통해 단일 기전 대비 내성 극복 가능성과 강화된 효능을 갖춘 후보물질이다.
현재 HM97662는 한국과 호주에서 진행성 또는 전이성 고형암 환자를 대상으로 한 글로벌 임상 1상이 진행 중이다. 이번 학회에서 한미약품은 생물정보학 기반 분석을 통해 HM97662의 반응성을 예측할 수 있는 유전자 발현 기반 바이오마커를 제시했다.
기존 EZH1/2 억제제는 SWI/SNF 복합체 단백질 돌연변이를 예측 지표로 사용했으나, 예측력의 한계가 지적돼 왔다. 이에 한미약품은 공공 암세포 데이터베이스(DepMap)를 활용해 유전자 발현 정보를 기반으로 한 바이오마커를 도출했다.
해당 바이오마커는 폐암, 난소암, 식도암 등 다양한 종양 모델에서 HM97662의 항종양 활성 예측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미약품 관계자는 “이번 연구는 유전자 발현 패턴을 기반으로 한 정밀치료 전략을 위한 과학적 근거를 제시한 것”이라며, “특정 유전자 변이뿐 아니라 발현 양상을 기준으로 환자군을 선별하는 접근법으로 개발 가능성을 넓혔다”고 밝혔다.
한미약품은 오는 4월 말 열리는 미국암연구학회(AACR 2025)에서 HM97662를 포함한 7개 항암 파이프라인에 대한 11건의 연구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이는 국내 제약사 중 3년 연속 가장 많은 발표 수를 기록한 것으로, 항암제 분야에서의 연구 역량을 보여주는 성과로 평가된다.
최인영 한미약품 R&D센터장은 “mRNA, 세포·유전자 치료제(CGT), 표적 단백질 분해(TPD), 항체약물접합체(ADC) 등 다양한 기술 플랫폼을 통해 항암 파이프라인을 확장하고 있다”며 “AACR 발표는 한미의 글로벌 신약개발 역량을 알릴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