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스티팜(대표이사 성무제)이 29일 1분기 잠정 매출액 524억원, 영업이익 10억원을 기록했다고 공시했다(K-IFRS 연결). 전년 동기 대비 매출액은 1.4% 증가했으나, 영업이익은 45.5% 감소했다.
에스티팜 최근 분기별 매출액 및 영업이익률 추이 [자료=더밸류뉴스]에스티팜 관계자는 “각종 비용 증가로 인해 영업이익이 감소했다”며 “전년 동기대비 매출원가 및 경상 연구비가 증가, 사내복지기금(지난해에는 4분기에 반영)이 추가됐다”고 설명했다.
당기순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86.9% 하락한 7억원을 기록했다. 환율 상승으로 인한 외환차익(외화 자산을 회수하거나 외화 부채를 상환할 때 환율 변동에 따라 발생하는 이익) 및 주가상승으로 인한 콜옵션(만기일 이전 특정한 기초 자산을 미리 정한 행사 가격으로 살 수 있는 권리를 매매하는 옵션 거래) 가치평가 금액이 높았던 기저효과로 인해 감소했다.
사업 부문별 실적은 다음과 같다. 올리고 매출은 전년동기대비 8.9% 증가한 376억원을 기록했다. 상세 고지혈증 치료제(264억원), 혈액암 치료제(61억원), 설비사용수수료(23억원) 등의 성장에 따랐다. 수주잔고는 3266억원을 기록했다.
저분자(Small molcule) 부문 매출액은 11억원을 기록했다. 전년동기대비 73.6% 감소했다. 미토콘드리아 결핍증후군 매출 감소가 주 원인이며 수주잔고는 395억원이다.
mRNA(messenger RNA, 메신저 리보핵산 활용 백신) 부문 매출액은 6억원으로 Cell Therapy(세포치료) 및 스마트캡 시료 매출이 반영됐다. 수주잔고는 32억원이다.
기타 부문에서는 CRO(Contract Research Organizaton, 신약 위탁 개발 임상시험 연구) 수주가 직전해 대비 지난해부터 증가, 수요 회복 동향으로 영업 손실 규모가 감소됐다.
에스티팜 관계자는 “올해 8월 올리고 부문의 CDMO(위탁개발생산) 파이프라인 유전성 혈관부종 치료제 및 연내 미토콘드리아 결핍증후군 치료제의 FDA 상업화 승인 예정돼 있다”며 “임상단계의 파이프라인 중 희귀 심혈관질환 치료제의 적응증확장 3상 결과도 연내 발표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어 제2 올리고동 완공 후 비준 단계가 진행중, 오는 4분기부터 가동이 예정돼 있다고 전했다. 또, sgRNA 생산라인 역시 구축중이며 오는 3분기부터 가동이 예정돼있다.
신약개발로는 에이즈치료제인 stp-0404의 글로벌 임상2상의 중간결과가 오는 3분기 내 발표가 예정돼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