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쟁력 있는 최고의 제품을 개발하는 열정과 차별적 미래 가치를 만들어내는 몰입으로 LG생활건강의 저력을 입증하는 한 해를 만들자"
이정애 LG생활건강 사장이 2일 ‘글로벌 2025년 신년사에서 사업 재구조화(리밸런싱)’를 사업 전략으로 제시하고 해외 시장 영향력 확대, 상품 생산 프로세스 혁신, 디지털 주도 성장을 중점과제로 선정했다.
이정애 LG생활건강 사장. [사진=LG생활건강]
먼저 미주 시장에서 빌리프, CNP, 더페이스샵을 중심으로 영 제너레이션 고객에게 어필할 수 있는 제품을 보강하고 마케팅에 투자한다. 특히 아마존 중심 온라인 채널에서의 퀀텀 점프와 오프라인 채널에서의 저변을 확대하는데 집중할 계획이다. 지난해 아마존에서 LG생활건강의 더페이스샵 미감수 라인, CNP 립세린이 좋은 성과를 냈다.
일본에서는 인지도가 높은 오랄 케어, 색조 브랜드 힌스, 더마 화장품 CNP를 중심으로 온라인 영향력을 확대한다. 동남아시아와 EMEA(유럽·중동·아프리카)에서는 현지 특성에 맞는 브랜드를 중심으로 온·오프라인 채널을 확장한다. 중국에서는 주력 브랜드인 더후의 리브랜딩 성과를 다지며 수익성에 기반한 성장에 집중한다.
상품 기획, 연구개발(R&D), 제품 출시 등 프로세스를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혁신한다. 디지털 데이터를 기반으로 고객 및 기술 트렌드를 분석하는 체계를 활용해 R&D 패스트트랙을 도입한다.
디지털 주도 성장을 위한 방안으로 국내·외 이커머스 시장 공략, 디지털 콘텐츠 기획 및 개발 역량 강화, 인공지능(AI) 활용을 제시했다. AI를 활용해 디지털 커머스와 마케팅 역량을 압축적으로 강화하고 외부 디지털 솔루션 기업과 협업해 융복합 제품을 개발하고 차별적 고객 경험을 제공한다.
이 사장은 인수합병을 필두로 한 비유기적 성장의 필요성도 강조했다. MZ, 알파 세대 고객에 기반을 둔 브랜드 인수합병을 추진하고 미래 성장성과 수익 기여도가 미흡한 사업은 강도 높은 효율화로 내실을 다질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