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더밸류뉴스=이승윤 기자]

세종대(총장 엄종화)가 세종연구원(이사장 홍우영)과 함께 지웅배 천문학자의 특강을 진행했다.


세종대, 세종연구원과 천문학자 지웅배 박사 초청 특강 공동주최지배웅 박사가 지난 12일 세종포럼에서 '하나의 우주, 두 개의 팽창 - 허블 텐션의 난제'를 주제로 강연하고 있다. [사진=세종대학교]

세종대는 지난 12일 천문학자 지웅배 박사를 초청해 '하나의 우주, 두 개의 팽창 - 허블 텐션의 난제'를 주제로 세종포럼을 개최했다고 19일 밝혔다. 


지 박사는 허블 텐션에 대해 설명하며 강연을 시작했다. 허블 텐션은 우주의 팽창률을 측정하는 두 가지 주된 방법 간의 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다. 첫 번째 방법은 우주 배경 복사를 분석해 우주 초기의 온도 요동을 통해 팽창률을 추정하는 것인데 빅뱅 직후 우주가 식으며 형성된 미세한 밀도 차이가 우주 배경 복사의 온도에 미세한 변화를 남기고 이를 통해 우주의 전체적인 팽창률, 암흑 물질, 암흑 에너지의 비율을 추정할 수 있다.


두 번째 방법은 은하의 후퇴속도와 거리를 직접 측정해 팽창률을 구하는 방식으로 허블의 법칙을 이용해 은하가 우리에게서 멀어지는 속도와 거리를 비교하는 방법이다. 은하까지의 거리를 측정하기 위해 '표준 촛불'이라고 불리는 천체들을 사용하고 가장 대표적인 표준 촛불은 세페이드 변광성과 Ia형 초신성이 있다. 이들은 특정 밝기, 변광 주기, 폭발 시의 밝기를 기반으로 거리 측정에 활용된다.


문제는 이 두 방법이 상이한 팽창률을 제시한다는 것이다. 우주 배경 복사로 측정된 팽창률은 약 63km/s/Mpc인 반면 은하의 후퇴속도로 측정된 팽창률은 약 73km/s/Mpc다. 두 값 간의 차이는 계속 존재하며 오차가 줄어들어도 간극은 오히려 더 커지고 있다.


이 차이는 두 측정 방법이 우주를 다르게 보고 있을 수 있다는 의문을 제기한다. 두 방법이 같은 우주를 정확히 관찰하고 있는지에 대한 문제가 발생하는 것이다. 이로 인해 우주론자들은 허블 텐션의 원인을 규명하고자 다양한 이론을 제안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허블 텐션은 현대 우주론에서 해결해야 할 중요한 난제로 남아 있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는 우주의 본질과 구조에 대한 깊은 통찰을 제공할 가능성이 있다.


lsy@thevaluenews.co.kr

[저작권 ⓒ 더밸류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TAG
0
기사수정
  • 기사등록 2024-09-19 12:04:58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버핏연구소 텔레그램
기획·시리즈더보기
재무분석더보기
제약·바이오더보기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