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경수 SK종합화학 사장 [사진=더밸류뉴스(SK종합화학 제공)][더밸류뉴스= 조창용 기자] SK종합화학, 현대엔지니어링, 유한킴벌리 등은 많게는 8년에서 적게는 3년 연속 동반성장지수 평가 '최우수 등급'을 받아왔지만 중소기업인 협력사와 상생결제시스템은 도입하지 않아 '표리부동' 기업으로 비난을 받고 있다.
2017년 동반성장지수 평가대상기업 181개사 중 상생결제시스템을 도입하지 않은 대기업은 100개사(55.2%)에 달했다. 상생결제시스템은 협력사가 결제일에 현금지급을 보장 받고, 결제일 이전에도 구매기업(대기업 등)이 지급한 외상매출채권을 대기업의 신용으로 은행에서 현금화하는 제도다.
현대엔지니어링 CI [사진=더밸류뉴스(현대엔지니어링 제공)]6일 뉴시스에 따르면,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더불어민주당 신정훈 (전남 나주·화순)의원이 중소벤처기업부로부터 제출받아 분석한 국정감사 자료에는 2017년 동반성장지수 평가대상기업 181개사 중 상생결제시스템을 도입하지 않은 대기업은 100개사(55.2%) 였고, 2018년에는 189개사 중 101개사(53.4%), 2019년은 193개사 중 103개사(53.4%)가 상생결제시스템을 도입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SK종합화학(대표이사 사장 나경수), 현대엔지니어링(대표 김창학), 유한킴벌리(대표 최규복) 등은 많게는 8년에서 적게는 3년 연속 동반성장지수 평가 '최우수 등급'을 받아왔지만 시스템은 도입하지 않았다.
유한킴벌리 CI [사진=더밸류뉴스(유한킴벌리 제공)]대기업이 1차 하도급기업에 상생결제시스템을 통해 지급한 결제대금 만큼 1차 하도급기업도 2~3차 기업에 같은 방식으로 지급을 의무화함으로써 하도급 거래과정 전반의 공정화를 이끌어 낼 핵심제도로 평가받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