셀트리온이 코로나19 항체치료제 개발을 위한 동물 시험에서 바이러스가 최대 100배 감소하는 등 약물의 효과를 일부 확인했다.
1일 셀트리온은 “항체치료제 후보 물질을 가지고 동물에게 효능을 확인해본 결과 감염 증상의 개선 효과를 확인했다”고 밝혔다.
항체치료제는 바이러스 감염 뒤 체내에 형성된 항체를 분리해 치료제로 사용하는 바이오의약품으로 바이러스의 침투와 증식에 사용되는 주요 구조를 둘러싸 제 기능을 못하도록 한다.
셀트리온 연구진이 코로나19 항체 치료제 개발 관련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사진=더밸류뉴스(셀트리온 제공)]지난 4월부터 셀트리온은 충북대와 함께 폐구조가 사람과 유사한 실험동물 ‘페럿’을 대상으로 동물 시험을 실시했다. 페럿은 족제비 일종으로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에 민감해 코로나19 백신과 치료제 후보 물질의 효능을 평가하는 데 적합한 동물 모델로 평가받는다.
연구진은 페럿을 고농도와 저농도 투여군으로 나눠 각각 다른 농도의 약물을 투입했고, 5일 뒤 두 그룹 모두 약물을 투입하지 않은 대조군 대비 콧물·기침 등 임상적 증상이 개선된 것을 확인했다. 또 콧물, 비강(콧속), 폐에서 RT-PCR(유전자 증폭 검사법)과 세포배양 기반 바이러스 역가 측정법으로 관찰했을 때 고농도 그룹은 바이러스가 최대 100배 이상 감소했다.
연구진에 따르면 폐조직 검사에서도 염증 개선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약물을 투여하지 않은 대조군은 감염 7일까지도 염증 소견이 지속적으로 관찰되는 반면, 약물을 투여한 고농도와 저농도 그룹은 폐 염증이 개선돼 정상에 가까운 폐조직 모양을 보였다.
셀트리온은 페럿에 이어 햄스터, 생쥐, 원숭이를 대상으로 효능성 및 독성 시험을 이어 나갈 예정이다. 이와 함께 사람을 대상으로 하는 임상 물질 생산을 위한 준비도 병행한다는 계획이다.
셀트리온은 “동물 실험에서 효능확인으로 치료제 개발 가능성에 한발 더 다가섰다”며 “6월 중 임상 물질 대량 생산에 돌입해, 예정대로 7월내 임상에 필요한 항체치료제 물질 공급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