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바이러스 사태로 인한 타격 여부. [사진=중소기업중앙회]
[더밸류뉴스= 이경서 기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영증(신종코로나) 확산으로 중소기업 3곳 중 1곳이 피해를 보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10일 중소기업중앙회가 중국에 현지법인 및 수출입 중소기업, 국내 도·소매 및 숙박·음식점과 같은 서비스 중소기업 250개사를 대상으로 신종코로나 관련 피해 현황과 의견을 조사한 결과, 응답기업의 34.4%가 “이번 사태로 직접적 경영 타격 등 피해를 보고 있다”고 말했다. 피해를 입었다는 응답은 서비스업(37.9%)이 제조업(31.0%)보다 높았다.
피해 서비스기업의 경우 76.6%(복수응답)가 ‘내방객 감소로 인한 매출축소’를 호소했고, ‘면담 거부 등으로 인한 영업활동 차질’(8.5%)이 뒤를 이었다. 피해 제조기업은 ‘원자재수급 차질’(56.4%)과 ‘부품수급 차질’(43.6%)을 가장 큰 어려움으로 꼽았다.
응답기업의 43.2%는 신종코로나 사태 이후 “체감경기가 악화했다”고 말했다. 이 역시 제조업(30.2%)보다 서비스업(56.5%)에서 체감경기가 악화했다는 응답 비중이 높았다.
신종코로나에 대한 정부의 대응책으로는 가장 많은 61.2%가 ‘국민 불안감 해소를 위한 신속한 대책마련’(61.2%)을 꼽았다. 이어 △‘피해 기업에 대한 관세 등 납세 유예 등 경영활동 지원’(50.0%) △‘내수활성화를 위한 정부재정 조기집행’(34.8%) △‘피해 기업에 대한 긴급 경영안정자금 지원’(34.0%) 등의 순이었다.
김기문 중기중앙회 회장은 "중국 부품과 원자재 수입 차질시 정상적인 기업활동이 어렵고 자금압박이 심화할 우려가 크다"며 "금리 인상과 자금상환 부담도 우려되는 만큼 정부 긴급경영안정자금의 조속한 집행이 필요하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