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국내 중소기업 2곳 중 1곳은 설 명절 상여금을 지급하기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13일 중소기업중앙회는 전국 808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2020년 중소기업 설 자금 수요조사'를 진행한 결과, 설 자금사정이 곤란한 중소기업이 절반(49.7%)에 이른다고 밝혔다.
자금사정이 어려운 이유로 판매부진과 인건비 상승(각 52.9%)이 가장 많았고 △원부자재 가격상승(22.4%) △판매대금 회수 지연(22.2%) △납품대금 단가 동결·인하(20%) △금융기관 이용곤란(10.2%) 등이 뒤를 이었다.
경기둔화가 장기화하면서 내수시장이 쪼그라든 데다 2년 연속 두 자릿수 인상률을 기록한 최저임금 여파가 여전히 기업에 부담감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것이 중기중앙회의 판단이다.
서울 여의도에 있는 중소기업중앙회. [사진=더밸류뉴스]
중소기업이 올해 설에 필요한 자금은 평균 2억4190만원으로 지난해보다 2130만원 더 증가했다.
중소기업들은 설 자금 확보를 위해 △결제연기(49.6%) △납품대금 조기회수(39.8%) △금융기관 차입(30.9%) 등 방법을 강구했지만 대책이 없다는 응답도 27.9%를 차지했다.
올해 설 상여금(현금)을 ‘지급예정’이라고 응답한 업체는 지난해보다 1.8%포인트 감소한 50.1%였다. 정액 지급시 1인당 평균 62만4000원, 정률 지급시 기본급의 46.3%를 지급할 것이라고 조사됐다. 이는 지난해보다 각각 4.1%, 6.2%포인트 낮아진 것이다.
설 연휴 4일을 모두 쉬기로 한 중소기업은 지난해보다 10% 많아진 89.5%에 달했다.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자금사정이 나아지지 않으면서 연휴에 회사 문을 닫기로 한 것이다.
김경만 중기중앙회 경제정책본부장은 “지난해엔 내수부진이 장기화되고 글로벌 경기상황이 불확실한 가운데 제조·서비스·건설업 모두 전반적으로 부진했다”며 “가계대출 규제 강화 등으로 중소기업 대출환경이 개선됐지만 경영부진 심화로 인해 중소기업들은 여전히 자금 곤란을 호소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