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픽사베이]
[더밸류뉴스= 이경서 기자] 10월 경상수지 흑자폭이 1년 만에 최대폭을 기록했다.
5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국제수지 잠정치 통계에 따르면 올해 10월 경상수지는 78억3000만달러 흑자로, 흑자폭이 지난해 10월(94억7000만달러) 이후 12개월 만에 가장 컸다. 경상수지는 지난 4월(3억9000만달러 적자) 한 차례를 빼고는 줄곧 흑자를 기록하고 있다.
경상수지는 상품과 서비스 등을 사고팔아 번 외화(수출)와 지급한 외화(수입)의 차이다. 경상수지는 자본수지, 금융계정 등과 함께 국제수지를 구성한다. 경상수지에는 상품수지, 서비스수지, 본원소득수지, 이전소득수지 등이 포함된다.
상품수지가 나빠졌지만, 서비스수지와 급료 및 임금과 투자소득의 내국인과 외국인 간 차액인 본원소득수지가 개선됐다.
상품수지 흑자규모는 1전 전(105억2000만달러)보다 24억9000만달러 감소한 80억3000만 달러를 기록했다. 수출이 수입보다 더 많이 줄어든 탓이다. 수출(491억2000만달러)과 수입(410억9000만달러)은 각각 14.5%, 12.5% 감소했다. 전년 동월 대비 수출 감소세는 11개월째 이어졌다.
국제수지 주요 통계. [사진=한국은행]
한은은 중국 등 글로벌 교역량 및 제조업 위축, 주요 수출품목들의 단가 하락 등의 영향으로 상품 수출이 축소됐다고 설명했다. 수입은 유가 하락으로 인해 원자재를 중심으로 줄었다는 분석이다.
서비스수지는 17억2000만달러 적자로 적자폭이 지난해 10월 보다 3억4000만달러 줄었다. 통관수입 물동량 감소로 운송수지 적자폭이 1억7000만달러 줄어든 영향이 컸다.
품목별로 여행수지 적자폭이 8억2000만달러로 지난해 10월보다 4000만달러 감소했다. 중국인과 동남아시아인을 중심으로 외국인 입국자 수가 1년 전보다 8.4% 늘었기 때문이다. 국적별로 중국인 입국자가 19.4% 늘었고 동남아인도 14.5% 증가했다. 반면 일본인 입국자는 14.4% 줄었고, 일본 여행 감소로 내국인 출국자 수도 8.3% 감소했다.
본원소득수지 흑자는 18억3000만달러로 1년 전(14억1000만달러)보다 흑자폭이 4억1000만달러 확대했다. 국내 기업과 투자기관이 해외로부터 배당금을 받은 영향이다. 이에 따라 올해 1~10월 경상흑자는 496억7000만달러로 집계됐다. 한은의 연간 경상흑자 전망치(11월 기준)는 570억달러다.
자본 유출입을 나타내는 금융계정 순자산(자산-부채)은 10월 중 102억4000만달러 증가했다. 직접투자에서는 내국인의 해외투자가 22억4000만달러, 외국인의 국내투자가 12억달러 각각 늘었다. 증권투자의 경우 미국 증시 호조 속에 내국인의 해외 증권투자가 34억9000만달러 커졌다. 외국인의 국내투자도 6억6000만달러 증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