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경상수지가 해외 투자소득수입 증가로 흑자를 기록했다.
5일 한국은행의 '7월 국제수지(잠정)'에 따르면 우리나라 경상수지 흑자 규모는 69억5000만달러(8조3706억원)였다.
서울 태평로 한국은행 본점. [사진=더밸류뉴스]
이는 지난해 10월 93억5000만달러 이후 9개월 만에 최대 흑자다. 지난 4월 6억6000만달러 적자에서 5월 48억100만달러 흑자로 전환 후 세달째 흑자를 유지하고 있다.
국제수지 추이 [사진=한국은행]
상품수지는 61억9000만달러 흑자로 지난해 7월 107억9000만달러 대비 46억달러(43%) 급감했다. 상품수지 흑자 규모는 전년비 기준 지난해 11월부터 9개월 연속 감소했다. 상품수지가 악화된 이유는 수출 부진이 지속되고 있는 영향이다. 수출은 482억6000만달러로 전년동월대비 10.9% 감소해 지난해 12월부터 8개월째 하락세이다.
수입도 세달째 감소세이며 수출 부진 여파와 국제유가 하락 등의 영향을 받았다. 수입은 전년동월대비 3.0% 줄어든 420억8000만달러를 기록했다. 다만 자본재 감소세 둔화, 소비재 수입 증가로 감소폭은 전월비 축소됐다.
서비스수지는 16억7000만달러 적자를 기록해 전년동월대비 기준 네달 연속 개선세를 보였다. 전년비로는 적자 폭이 14억2000만달러(46%) 줄었다. 중국과 일본을 중심으로 입국자수가 늘면서 여행수지 적자가 동 기간 14억9000만달러에서 11억8000만달러로 개선됐기 때문이다. 여행수지 적자는 11월 연속 개선세를 보이고 있다.
본원소득수지는 30억달러 흑자를 내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투자소득수지가 30억8000만달러 흑자를 기록했기 때문이다. 투자소득수지 흑자 규모도 역대 1위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