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기업 100곳 중 14곳은 돈을 벌고도 이자를 갚지 못하는 ‘한계기업’인 것으로 드러났다.
기업들이 밀집해 있는 서울 역삼역 인근 빌딩가. [사진=더밸류뉴스]
26일 한국은행이 발간한 ‘금융안정 상황(2019년 9월)’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외부 회계감사를 받는 기업 3236곳이 한계기업으로 외감기업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4.2%(3236개)로 2017년대비 0.5%포인트 상승했다.
한계기업 현황. [사진=한국은행]
한계기업은 영업이익을 이자비용으로 나눈 이자보상배율이 3년 연속 1 미만인 기업이다. 돈을 벌어 이자도 다 갚지 못하는 상태가 3년째 계속된 기업을 뜻한다.
대기업 중 한계기업 비중은 10.6%, 중소기업 중 한계기업 비중은 14.9%로 지난해보다 각각 0.7%포인트, 0.5%포인트 상승했다.
업종별로는 △숙박음식(35.8%), △조선(24.0%), △부동산(22.9%), △운수(18.7%), △해운(16.8%) 분야의 한계기업 비중이 전체 평균(14.2%)을 상회했다.
한계기업만 늘어난 게 아니라 곧 한계기업에 신규 진입하는 기업과 향후 한계기업이 될 가능성이 높은 기업도 증가했다.
이자보상배율이 2년 연속 1미만인 기업의 비중은 2017년 19.0%에서 지난해 20.4%로 올랐다. 이들 기업 중 실제 한계기업으로 전이되는 비율도 2017년 이후 상승 전환했다. 실제 한계기업이 된 ‘전이율’은 2017년 53.8%에서 지난해 63.1%로 상승했다.
한계기업에 대한 금융회사 여신은 지난해 말 107조9000억원으로, 1년 새 7조8000억원 증가했다. 외감기업 전체 여신 중 한계기업 여신 비중은 13.8%로 0.4%포인트 상승했다.
기업규모별 한계기업 여신 비중을 보면, 대기업은 11.3%로 전년말대비 0.1%포인트 상승했으며 중소기업도 같은 기간 19.4%로 0.9%포인트 상승했다.
한계기업은 채무상환능력이 취약한 데다 저신용등급 및 자본잠식 상태인 기업의 비중이 높아 경영 여건이 추가 악화될 경우 부실위험이 크게 증대될 가능성이 있다고 한은은 경고했다.
한은은 “금융기관은 최근 글로벌 교역여건 악화, 국내 경기둔화 등으로 기업의 채무상환능력이 전반적으로 낮아지는 가운데 한계기업도 증가할 가능성이 있다”며 “이들 기업에 대한 신용위험 관리 노력을 강화해 나갈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