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일본 수출규제에 대응하기 위해 'R&D 프로세스 혁신 방안'을 내놓기로 했다.
지난 27일 정부는 정부서울청사에서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일본 수출 규제 대응 관계장관회의'를 열고, 소재·부품·장비 등 핵심 원천기술 자립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을 논의했다. 이날 회의에는 강경화 외교부 장관과 박영선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등이 참석했다.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가운데)이 지난 27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강경화 외교부 장관(왼쪽), 박영선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오른쪽) 등과 함께 ‘일본 수출규제 대응 관계장관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기획재정부]
회의는 28일 일본이 우리나라를 백색국가(화이트리스트)에서 배제하는 수출무역관리령 개정안 시행을 앞두고 외교·통상 현안 점검을 위해 열렸다. 중점 논의 사항은 그동안 관계부처 합동으로 준비한 '소재·부품·장비 연구개발 투자전략 및 혁신대책'이었다.
논의된 내용은 28일 국무총리 주재로 열리는 일본 수출규제 대응 확대관계장관회의에서 확정 및 발표될 예정이다. 또 올해 추경 예산에 반영된 '소재·부품·장비 기술개발사업 추진계획(안)'을 점검하고, 수요·공급기업 협력모델을 활용해 소재·부품 등의 신속한 기술 개발도 추진된다.
이날 회의에서는 외교부를 중심으로 한 주요 대상 아웃리치(대외접촉) 상황과 산업통상자원부의 WTO(세계무역기구) 제소 준비 상황 등도 점검했다. 당초에는 과학기술관계장관회의로 열릴 예정이었으나, '백색국가 배제' 시행에 따른 구체적인 대책을 점검하기 위해 금융위원회 등 관련 분야 장관을 추가해 확대관계장관회의로 열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