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외국인 증권투자자금이 17개월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10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6월 이후 국제금융·외환시장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외국인 증권투자자금은 47억8000만 달러 순유입을 기록했다. 이는 지난해 1월 52억2000만 달러가 들어온 이후 최대 규모다.
서울 중구 한국은행 본점. [사진=더밸류뉴스]
채권과 주식으로 나누어 보면 6월 외국인 채권자금은 45억6000만 달러 순유입됐다. 규모는 지난달 60억4000만 달러에 비하면 줄었지만, 큰 폭의 유입세를 이어갔다.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인하할 것이라는 기대감이 꾸준한 외국인 자금을 이끈 것으로 보인다. 금리가 내려가면 채권 가격은 올라 투자자가 이득을 보기 때문이다.
지난달 외국인 주식자금은 2억2000만달러, 무역갈등이 고조돼 25억8000만 달러가 빠져나갔으나 이후 미중 화해 모드가 연출되며 한달만에 유입세로 전환했다.
외국인 증권투자자금. [사진=한국은행]
환율은 큰 변동 폭을 보여줬다.
6월 말 1154.7원이던 원·달러 환율은 지난 8일 1182.0원으로 27.3원 올랐다. 지난달 미국 금리인하 기대감에 달러가 약세를 보였지만, 이달 들어 일본 반도체 소재 수출규제, 달러화 강세나 국내 수출지표 부진 등의 영향을 받은 탓이다.
지난달 원·달러 환율의 전일 대비 변동 폭은 3.7원으로 5월(3.5원)보다 커졌고 변동률도 0.30%에서 0.32%로 상승했다. 매일 종가가 월평균 환율에서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를 보여주는 원·달러 환율 표준편차는 12.1원으로 전달 9.4원보다 확대됐다.
한편 미중 무역갈등이 완화되면서, 외국환평형기금채권의 한국 국가부도위험을 나타내는 신용부도스와프(CDS) 프리미엄은 5월 35bp(1bp=0.01%포인트)에서 6월 33bp로 소폭 하락했다.
CDS는 채권을 발행한 국가나 기업이 부도났을 때 손실을 보상해주는 금융파생상품으로, CDS 프리미엄이 내렸다는 것은 부도 위험이 줄었다는 뜻이다.
2분기 국내 은행 간 하루 평균 외환거래 규모는 265억4000만 달러로 전 분기 262억6000만 달러보다 2억7000만 달러 늘었다.
국내 기업의 선물환 거래는 5억 달러 순매입 돼 전 분기(17억 달러)보다 순매입 규모가 줄었다. 거래 규모는 422억 달러로 전 분기보다 21억달러 늘었다.
비거주자의 차액결제선물환(NDF) 거래는 61억6000만 달러 순매입으로 전 분기(105억5000만 달러)보다 감소했다. 하루 평균 NDF 거래액은 113억3000만 달러로 지난 분기(99억 달러)보다 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