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SDS(대표이사 이준희)가 제조 기업 IT 담당자들을 대상으로 디지털 혁신의 미래 전략을 공유했다. 생성형 AI, 하이퍼오토메이션, 제조 보안 등 첨단 솔루션의 실제 도입 사례를 중심으로 산업의 디지털 전환 방향을 제시했다.
삼성SDS는 16일 잠실 스카이31 컨벤션에서 제조 기업을 대상으로 ‘제조의 미래를 준비하는 삼성SDS 인더스트리 데이(Industry Day)’ 세미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삼성SDS가 16일 진행된 '삼성SDS 인더스트리 데이(Industry Day)'에서 생성형 AI 기술과 제조 특화 솔루션의 사례를 소개하고 관련 노하우를 공유했다. [사진= 삼성SDS]
이번 행사에는 제조 기업 IT 담당자 300여 명이 참석해 제조업의 디지털 혁신 사례에 높은 관심을 보였다.
이날 삼성SDS는 △제조 업종 AI 에이전트 활용 사례 △제조 ERP 혁신 방안 △랜섬웨어 대응을 위한 OT 보안 전략 △5G 특화망(Private 5G) 기반 제조 현장 혁신 △AI 기반 디지털 구매(SRM) 혁신 사례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며 디지털 제조 혁신 전략을 제시했다.
또 생성형 AI가 도입되면서 변화하는 ERP, MES, PLM 등 제조 특화 솔루션의 성공적인 활용 전략과 최적화 사례도 공유했다.
기조 연설을 맡은 김정욱 삼성SDS 컨설팅팀장 상무는 삼성SDS가 보유한 제조 산업의 핵심 시스템 경험과 글로벌 사례를 바탕으로 기업별 맞춤형 디지털 혁신 전략을 발표하며 제조업의 미래 방향을 제시했다.
이어서 진행된 ‘AI 에이전트: 하이퍼오토메이션 핵심 노트’ 세션에서는 제조업의 하이퍼오토메이션 주요 요소와 실제 적용 사례를 소개해 참석자들의 높은 관심을 끌었다.
이와 함께 삼성SDS는 스마트팩토리 확산과 IoT·5G 네트워크 확대에 따라 제조 현장의 보안 위협이 더욱 증가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24시간 가동되는 IoT 센서, 로봇 등 생산 설비와 제조 공정을 실시간으로 보호하는 보안 솔루션의 필요성을 설명하며, 사이버 공격 탐지 및 차단을 위한 구체적인 대응 전략을 제시했다.
이정헌 삼성SDS 전략마케팅실장 부사장은 “삼성SDS 인더스트리 데이(Industry Day)는 생성형 AI 활용, 하이퍼오토메이션 전략 등 고객들의 고민을 함께 나누고 해결책을 제시하기 위해 마련된 행사”라며, “앞으로도 삼성SDS의 경험과 노하우를 바탕으로 고객들이 실질적인 혁신을 이룰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인더스트리 데이는 급변하는 제조 산업의 디지털 혁신 트렌드를 심층적으로 조명한 의미 있는 자리로 삼성SDS의 풍부한 기술 경험과 글로벌 노하우를 바탕으로 제조업의 미래 경쟁력을 제시했으며, 고객 맞춤형 디지털 혁신 전략의 청사진을 제공했다. 앞으로도 기술 혁신을 통해 제조업의 디지털 전환을 선도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