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올해 안에 수소 시범도시 3곳을 선정한다. 수소를 냉·난방과 전기, 교통 등 주요 도시 기능의 연료로 쓰는 이른바 '수소 도시'가 2022년까지 현실이 될 예정이다.
10일 국토교통부는 이낙연 국무총리 주재 제 90회 국정현안점검 조정회의에서 이런 내용의 ‘수소 시범도시 추진 전략’을 발표했다.
국토부는 도시 내 3∼10㎢ 면적을 주거·교통 분야 수소 활용 기술을 테스트할 '수소 시범도시'로 지정한다. 지방자치단체로부터 받은 사업 계획을 토대로 공정한 평가를 거쳐 12월 중 3곳을 최종 선정할 계획이다. 계획의 타당성, 실현 가능성, 향후 수소 정책 추진 의지 등이 주요 선정 기준이 된다.
수소 시범도시 모델(안) 예시. [사진=국토교통부]
선정된 지역 1곳당 수소 친화 도시계획(MP) 수립비와 연료전지·파이프라인·수소 통합운영센터 등 핵심인프라 구축비 사업비를 지원한다. 총사업비(290억원 한도)의 50%가 국비로 지원될 계획이다.
시범도시의 공동주택 단지와 개별 건축물은 수소를 냉·난방, 전기 등 에너지원으로 사용한다. 연료전지에 충전한 수소와 공기 중 산소가 반응할 때 나오는 화학 에너지를 전기로 바꿔 활용하는 방식이다.
도시 내 수소에너지 기반 교통체계도 구축된다. 이를 위해 복합환승센터, 주차장, 버스 차고지 등에는 수소차·수소 버스 충전소가 설치된다.
폭발 위험이 있는 수소를 에너지원으로 사용하는 데 따른 안전 대책도 마련된다. 시범도시는 사고가 나면 시스템이 자동 정지되는 안전제어시스템을 의무적으로 갖춘다. 현재 안전기준이 미흡한 '저압(低押) 수소' 사용 부품의 기준도 강화되고, 국토부는 전문기관과 함께 지자체에 안전 관련 평가, 컨설팅(자문) 등도 지원할 방침이다. 도시 계획·설계·시공·운영 모든 단계에 걸친 통합안전관리지침도 배포한다.
수소 시범도시 주요 모델. [사진=국토교통부]
국토부는 이들 수소 시범도시의 조성 완료 시점을 2022년으로 예상하고 있다. 로드맵(정책일정)상 시범도시 사업 이후 2030년까지 '수소도시 확장기'에는 전국 지자체(시·군·구)의 10%를 수소도시로 바꾸는 것이 목표다. 2040년까지는 지자체의 무려 40%가 수소도시 면모를 갖추고, 수소차 82만5천대와 수소버스 1만2천대가 도로 위를 달린다.
이상주 국토부 도시정책과장은 "수소 시범도시 추진으로 도시 내 수소 생태계가 조성되면 주민들이 편리하게 수소를 활용할 수 있고, 수소 경제 활성화가 촉진될 것"이라며 "안전을 최우선으로 추진해 안전한 시범도시가 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