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밑줄긋기] 1960~1980년대 한국 기자의 자화상이 궁금하다면? <체험적 신문론>

  • 기사등록 2017-07-20 12:16:00
기사수정
[더밸류뉴스=박정호 기자]

체험적 신문론. 송효빈 지음. 나남 펴냄. 나남신서 304. 1993년 12월 펴냄.


- 토마스 제퍼슨은 "만일 신문없는 정부와 정부 없는 신문 가운데 어느 하나를 택하라고 한다면 나는 주저 없이 후자를 택하겠다"고 했다.
그는 '신문'이라고 했다. 신문은 그만큼 미디어의 중심이었다. 지금 생각하면 호랑이 담배 피던 시절 이야기이다.


- 누가 낙종을 했는가, 누가 특종을 했는가, 누가 기사를 잘 쓰는가는 명확하게 가려진다. 인쇄 매체의 특징이다.


- 기자는 오늘의 사실을 지체 없이 독자에게 알릴 사명이  있다. 사명 의식이 있었던 것 같다.


- 19세기 독일의 철학자인 쇼펜하우어는 "신문은 역사의 초침"이라고 말했다. 그 시절도 신문의 시대였다.


- 1960년대 초만 해도 기자의 한달 봉급은 쌀 3가마였다. 그때는 쌀 몇가마가 기준이었다. 1950년대만 해도 신문기자라고 하면 제대로 된 직업인으로 쳐주지도 않았다. 월급도 얼마 되지 않는데다가 전직도 많았다.


- 두가닥으로 빨간 줄이 옆으로 그어진 기자증만 제시하면 기차를 공짜로 타고, 극장을 무상 출이하던 시절이 있었다. 나의 바로 앞 세대 선배들의 경험담이었다. 국민의 알권리를 빙자한 기자의 행패였다.


- 5 16 쿠데타 전의 일화이다. 육군 본부에서 지휘관 회의가 열렸다. 일선 지휘관들이 한자리에 모여 참모총장을 기다리는 긴장된 순간, 국방부 출입 기자 K씨가 문을 열고 들어왔다. 앉아 있던 장군들이 참모총장이 들어오는 줄 알고 차렷 자세로 일어섰다. K기자 왈 , " 너흳르 뭐하냐" 한마디 뱉고 낄낄 대며 문을 닫았다. 이것은 실화다. 그 자리에 박정희 소장도 있었다. 지휘관들은 분노했다. 박정희 소장은 쿠데타를 일으킨 후 K씨를 '숙청'했다.


- 신문 기자는 뒷골목의 건달처럼 모자를 삐딱하게 쓰고 바바리 코트를 입고 다니는 모습으로 그려졌다.


- 기자실에는 장기판과 바둑판이 필수이다. 일하는 직장에 무슨 놀이기구냐고 할지 모르지만 뉴스 발표는 기다리이기에 너무 지루하다.


- 팩트에 충실한 기사를 쓰는 것은 쉽지 않다. 이름의 한자도 주의하지 않으면 걸핏하면 틀린다.


- 당시 독자들은 경제 기사를 잘 읽지 않았다. 당시 사람들이 즐겨보는 지면은 정치, 사회면이었다. 경제를 삶에 미치는 결정적 요소로 생각하지 않았던 것 같다. 지금 생각하면 호랑이 담배 피던 시절이야기이다.


- 신문 기자는 자유분방하지 않다. 지식은 고갈된다.


- 정치부 기자는 먹는 것, 쓰는 것, 보는 것만 놓고 본다면 국회의원과 동급이다. 정치인을 수행 취재하면서 공항을 이용할 때나 열차를 이용할 때에도 항상 귀빈실을 이용한다. 그러나 알고보면 속빈 강정이다. 이 사실을 당신이 빨리 깨달을 수록 당신은 현명한 기자이다.


pjh@thevaluenews.co.kr

[저작권 ⓒ 더밸류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TAG
0
기사수정
  • 기사등록 2017-07-20 12:16:00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버핏연구소 텔레그램
4차산업더보기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