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더밸류뉴스=이승윤 기자]

오리온(회장 담철곤)이 15일 1분기 연결 매출액 8018억원, 영업이익 1314억원을 기록했다고 공시했다(K-IFRS 별도). 전년동기대비 매출액 7.1% 증가, 영업이익 5% 증가했다.


오리온, 1Q 매출액 8018억 전년동기比 7.1%↑... \오리온 지난 6개 분기 매출액, 영업이익률 추이. [자료=더밸류뉴스]

글로벌 경기침체와 소비심리 위축에 중국, 베트남 최대 성수기인 ‘춘절’과 ‘뗏’ 효과가 축소됐지만 중국, 베트남, 러시아 등 해외 법인들이 견고한 성장을 이어갔다. 국내 법인 수출 물량이 크게 증가하며 해외 매출 비중이 68%로 확대됐다.


국내 법인은 매출액 2824억원, 영업이익 463억원으로 각각 4%, 5.6% 성장했다. 내수소비 부진 및 소매 거래처 폐점 지속으로 내수 판매액은 1.6% 성장했으나 미국 중심 수출액이 23% 늘며 국내 법인 성장을 견인했다. 수출 물량 확대와 비용 절감에 힘입어 영업이익도 증가했다.


하반기에는 소비자 부담을 고려한 가성비 제품 중심으로 영업활동을 강화하고 저당, 단백질 신제품을 선보일 계획이다. 수출을 확대하고 수출 품목을 늘려 외형 성장도 지속한다. 국내외 생산능력 확충을 위해 4600억원을 투자해 진천 통합센터를 착공한다.


중국 법인은 춘절 실적이 지난해 4분기에 선반영됐는데도 간식점, 이커머스 등 고성장 채널 판매 확대로 매출액 7.1% 성장한 3282억원을 기록했다. 춘절 시즌 성과를 판단할 수 있는 지난해 11월부터 올해 2월까지 합산 매출액도 13.5% 증가했다. 코코아, 유지류 등 주요 원재료 가격 상승으로 영업이익은 3.2% 증가한 560억원을 기록했다.


하반기에는 고성장 채널 전용 제품을 늘리고 영업력을 강화해 외형을 키울 계획이다. 간접영업체제 전환이 마무리되며 수익성도 개선되는 만큼 하반기에는 매출과 영업이익이 더 많이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베트남 법인은 매출액 8.5% 증가한 1283억원이고 뗏 시즌인 지난해 11월부터 올해 2월까지 합산 매출액도 11.2%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9.2% 늘어난 212억원이다.


하반기에는 하노이 옌퐁공장 내 신공장동을 완공하고 생산라인을 늘려 제품 공급력을 확대한다. 쌀스낵은 현지 수요와 인접 국가로의 수출이 늘며 생산라인 가동률이 100%를 기록해 2개 라인을 추가 구축할 계획이다. 마켓쉐어 1위를 목전에 두고 있어 현재 점유율 1위인 생감자칩과 함께 현지 스낵 시장의 지배력을 강화할 전망이다.


러시아 법인은 초코파이 생산라인 가동률 140% 상회, 주요 판매 채널 공급물량 확대로 매출액이 33% 성장한 672억원을 달성했다. 영업이익은 주요 원재료의 가격 상승과 환율 영향으로 제조원가 부담이 가중되며 9.2% 증가한 86억원을 기록했다.


하반기에는 초코파이 생산라인을 추가하고 포장설비를 구축해 채널별 전용 제품을 공급할 계획이다. 신제품을 지속 확대해 다제품 체제를 정착시켜 고성장 기반을 만든다.


지난해 3월 인수한 리가켐바이오사이언스는 같은 해 10월 기술이전사로 오노약품공업이 추가되며 당기순이익이 181% 증가한 265억원을 기록했다. 52억원의 지분법 이익을 반영했다.


하반기에는 새로운 파이프라인 개발을 가속화하고 미국 내 임상을 담당하는 보스톤 자회사를 통해 글로벌 자체 임상 역량을 강화할 계획이다.


오리온은 국내외 공급능력 확대를 추진하고 모든 법인 제품력과 영업력을 강화해 글로벌 시장에서의 리더십을 높일 계획이다.


lsy@thevaluenews.co.kr

[저작권 ⓒ 더밸류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밸류뉴스' 구독하기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광고성 정보 수신

제휴 콘텐츠, 프로모션, 이벤트 정보 등의 광고성 정보를 수신합니다.
관련기사
TAG
0
기사수정
  • 기사등록 2025-05-15 17:37:12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재계 지도 포럼
더밸류뉴스 구독하기
버핏연구소 텔레그램
4차산업혁명더보기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