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현대건설, 성균관대와 협업 정원 'RHS 플라워쇼' 선정... 유럽 최초 작품 조성

- 세계 3대 정원축제 진출...英 문화유산에 작가정원 조성

  • 기사등록 2025-05-21 19:59:08
기사수정
[더밸류뉴스=권소윤 기자]

현대건설(대표이사 이한우)이 성균관대학교(총장 유지범)와 공동작업한 예술 정원이 영국의 대표 국가유산에 조성돼 전 세계인에게 공개된다.


현대건설은 세계 3대 정원축제로 꼽히는 ‘영국 왕립원예협회(RHS,Royal Horticultural Society) 플라워쇼’의 웬트워스 우드하우스 2025 쇼가든 부문에 성균관대와 공동 작업한 작가정원 ‘정원이 속삭이다(Garden Whispers)’가 선정됐다고 21일 밝혔다.


현대건설, 성균관대와 협업 정원 \ RHS 플라워쇼\  선정... 유럽 최초 작품 조성현대건설이 영국 RHS 플라워쇼 '웬트워스 우드하우스 2025 쇼가든' 부문에 성균관대와 공동 작업한 작가 정원이 선정, 국내 건설사 최초로 유럽 현지에 작품이 조성된다. 이미지는 현대건설과 성균관대가 공동 작업한 작가 정원 '정원이 속삭이다(Garden Whispers)' [이미지=현대건설]

‘정원이 속삭이다’는 다양한 높이로 배치된 흰색 기둥 사이로 바람결을 형상화한 리드미컬한 구조와 고요한 사색 공간, 생동감 넘치는 초화류(herbaceous flowers)가 조화를 이루는 예술정원이다. 정원의 구조물과 일부 시설에는 플라스틱을 재활용한 3D 프린팅 기술이 적용돼 지속가능성을 더했다.


이번 출품은 국내 건설사가 RHS의 작가정원 부문에 선정돼 유럽 현지에 정원을 직접 조성하는 첫 사례로, 현대건설의 조경 디자인이 국제 무대에서 예술성과 전문성을 인정받은 의미 있는 이정표다.


작품은 최혜영 성균관대학교 교수와 최연길 현대건설 조경디자인팀 책임이 협업해 완성했다. 두 사람은 지난해 준공한 ‘올림픽파크 포레온 3단지’에 작가정원 ‘도서관과 정원(Library & Garden)’을 조성, ‘정원이 속삭이다’는 그 후속작이다. 


현대건설은 플라워쇼에서 공개된 위 작품을 내년에 준공하는 디에이치 방배 현장에 재현한다는 계획이다. 


현대건설은 최근 세계 3대 디자인상(레드닷, iF, IDEA)에서 조경 부문으로 8개 상을 수상, 디자인 역량을 입증했다. 지난해에는 '디에이치퍼스티어아이파크'로 대한민국 조경대상 대통령상 수상 등 하이엔드 주거 브랜드의 정원 설계에도 미학적·정서적 가치를 적극 반영하고 있다. 


현대건설 관계자는 “조경은 단순한 공간 설계가 아니라 주거 품격을 결정짓는 핵심 요소”라며 “앞으로도 국내외 주요 사업지에 예술성과 환경성을 갖춘 정원을 통해 새로운 주거 문화를 제시하겠다”고 밝혔다.


vivien9667@thevaluenews.co.kr

[저작권 ⓒ 더밸류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밸류뉴스' 구독하기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광고성 정보 수신

제휴 콘텐츠, 프로모션, 이벤트 정보 등의 광고성 정보를 수신합니다.
관련기사
TAG
0
기사수정
  • 기사등록 2025-05-21 19:59:08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현재의견(총 1 개)
  • macmaca2025-05-21 20:08:57

    영국은 영국왕이 중심이라,Oxbridge대학 역사보다 더 강할수 있음.@@한국 국사교육은 대학분야 유일무이 최고 교육기관 성균관(해방후 성균관대), 고등학교 교육은 향교.서원이외에 국사 교과서로 교육시킬 신생 학교들이 없음. 국사 성균관자격 宮성균관대.서강대는 예수회의 가톨릭계 귀족대학으로, 양반 성대 다음 Royal대 예우. 상위규범인 국제법,한국사, 헌법, 세계사,주권기준이라 변하지 않음. 5,000만 한국인 뒤, 주권.자격.학벌없이, 성씨없는 일본 점쇠(요시히토,히로히토등)가 세운, 마당쇠.개똥이 경성제대 후신 서울대. 그뒤 서울대 미만 전국 각지역 대학들.@심산 김창숙 선생은, 해방후 미군정당시, 미군정이 복구한 성균관의, 성균관장이 되시고, 전국 유림대회 결의에 따라, 성균관장의 자격으로, 미군정에 성균관대를 대학으로 등록(성균관은 제사기구로 2원화하여 현재에 이름. 조선.대한제국 유일무이 최고 대학 국사 성균관자격은 성균관대가 계승)@포츠담선언(카이로선언포함)을 받아들여, 한국영토에 주권이 없고, 한국영토에서 축출해야 될 일제 잔재 종교정책과, 경성제대 후신 서울대등 각종 왜구학교.@김창숙 선생 개인이, 인품이 훌륭하거나, 임시정부 요인이라서가 아니라, 미군정에서 법으로 성균관을 복구시켜서, 성균관장에 선출되었고, 성균관장 자격으로, 미군정에 성균관대를 대학으로 등록하여서, 성균관대가 국사 성균관의 유일무이 최고 교육기관 자격을 승계해 온것임.국사 성균관의 승계대학이 성균관대라는건 성균관대, 성균관, 여러 백과사전 공통된 견해임.
     https://blog.naver.com/macmaca/223528462438

재계 지도 포럼
더밸류뉴스 구독하기
버핏연구소 텔레그램
4차산업혁명더보기
제약·바이오더보기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