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 CNS(대표이사 현신균)가 생성형 AI를 도입하려는 금융 기업을 위한 최적의 AI 모델 선별 도구를 개발했다.
LG CNS가 금융 맞춤형 LLM 평가 도구를 출시했다. [사진=LG CNS]
LG CNS는 금융 맞춤형 LLM 평가 도구를 출시했다고 24일 밝혔다.
이번에 개발된 LLM(대규모 언어모델) 평가 도구는 시중에 공개된 다양한 개방형 LLM을 평가해 뱅킹, 보험, 증권 등 각 금융 서비스에 가장 적합한 AI 모델을 찾아준다. 개방형 LLM은 공개된 소스코드나 알고리즘으로 누구나 자유롭게 수정하고 활용할 수 있는 거대언어모델로, LG AI연구원의 엑사원 3.5, 메타의 라마, 알리바바의 큐원 2.5 등이 대표적이다.
금융 기업들은 보안 문제로 인해 개방형 LLM을 파인튜닝해 자체 모델을 구축하고 있다. 파인튜닝은 AI 모델에 별도 데이터를 학습시켜 특정 목적에 맞게 만드는 과정을 말한다. 반면 챗GPT나 구글의 제미니 같은 폐쇄형 LLM은 내부 소스코드가 공개되지 않아 기업이 자체 AI 모델로 구축해 활용할 수 없다.
LG CNS의 금융 특화 평가 도구는 29가지 평가지표와 약 1,200개의 데이터셋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도구는 금융 지식 기반 추론 능력, 수학적 추론 능력, 복잡한 질문 이해력, 문서요약 능력, 금융 용어 이해도, AI 에이전트 사용 능력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한다.
LG CNS는 금융 전문가들과 협업해 평가 지표에 실제 금융 현장의 서비스 정보와 전문 지식을 정확히 반영했다. 이를 통해 AI가 금융 산업의 규제 요건과 복잡한 서비스 구조 안에서 정확한 답변을 할 수 있도록 설계했다.
LG CNS 관계자는 "이 평가 도구를 통해 금융기업의 AI 도입 과정에서 최적의 LLM 선정, 커스터마이징, 안정적인 운영 단계에서 차별화된 고객가치를 제공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LG CNS의 이번 기술은 금융 산업의 AI 도입에 새로운 지평을 열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