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스티큐브(대표이사 정현진)가 내달 9월 9~12일(현지시각) 싱가포르에서 열리는 ‘2023 세계폐암학회(2023 WCLC)’ 참가를 앞두고 소세포폐암(SCLC) 치료제 개발과 관련한 연구 결과를 공개했다.
에스티큐브는 17일 WCLC 홈페이지에 넬마스토바트(hSTC810)의 연구 초록이 공개됐다고 밝혔다.
에스티큐브 CI. [이미지=에스티큐브]
이번 학회에서 에스티큐브는 소세포폐암에서의 BTN1A1(넬마스토바트가 타겟하는 면역관문단백질) 발현 특성에 대해 중점 발표한다.
에스티큐브는 임상 1상에서 넬마스토바트의 안전성 검증과 더불어 BTN1A1의 발현과 특정 면역세포들에 강한 상관관계가 있다는 것을 밝혀냈다. BTN1A1은 기존 PD-L1의 발현이 낮고 대부분의 면역관문억제제에 반응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진 소세포폐암에서 발현율이 특히 높게 나타났다. 소세포폐암의 경우 임상 1상에서 무진행생존기간(PFS)이 약 8개월 이상 안정변변(SD)을 유지했으며 그 중 1명의 소세포폐암 환자는 이상반응 없이 현재까지 종양의 크기가 줄어든 안정병변(SD)을 유지하고 있다.
에스티큐브는 현재 소세포폐암을 타겟으로 후속 임상을 준비 중이다. 지난 4일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넬마스토바트 유효성 검증을 위한 1b∙2상 임상시험계획승인신청서(IND)를 제출한 바 있다. 다수의 다국적 메이저 병원이 적극 참여해 소세포폐암 병용 치료제 개발을 위한 연구에 나선다.
연구자 주도 임상도 활발히 진행될 예정이다. 대장암, 방광암, 비소세포폐암으로 적응증을 확대하고, 특히 소세포폐암 1차 치료제로서의 효과를 염두에 둔 연구자임상도 논의 중에 있다는 설명이다. 빠른 품목허가를 목표로 향후 희귀의약품 지정 신청도 계획하고 있다.
소세포폐암은 전체 폐암에서 15% 비중을 차지하는 희귀질환이다.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자료에 따르면 소세포폐암 치료제 시장은 매년 연평균 20% 가까운 성장세가 예상되는 고성장 분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