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유플러스(대표이사 황현식)는 지난해 4분기 매출액 3조3391억원, 영업이익 1426억원, 당기순이익 666억원을 기록했다고 28일 밝혔다. 전년비 매출액은 2.6% 증가했지만 영업이익은 11.8% 감소했고 당기순손익은 흑자전환했다.
지난해 연간 매출액 13조8511억원, 영업이익 9790억원이다. 전년비 약 10.5% 증가한 수치로 2년 연속 영업이익이 두 자릿수 증가했다. 일회성 비용을 제외하면 영업이익은 1조원 이상으로 집계됐다.
LG유플러스 로고. [이미지=LG유플러스]이는 유무선 사업의 질적 성장이 가시화되며 실적 증가를 이끈 동시에 신사업을 포함한 기업인프라 사업이 안정적 성장세를 지속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연간 무선 수익은 전년비 4% 증가한 6조547억원을 기록했다. 5G와 MVNO(알뜰폰) 가입자 증가가 전체 실적을 이끈 것으로 풀이된다.
MNO와 MVNO를 합한 전체 무선 가입자 수는 1798만 7천명으로 전년비 8% 성장했다. 특히 5G 가입자는 전년도에 비해 약 67.9% 늘어난 462만 6천명을 기록했다. MVNO 가입자는 전년비 49.1% 늘어난 283만 3천명으로 증가세를 이어갔다.
IPTV, 초고속인터넷을 포함한 스마트홈 사업과 스마트팩토리, IDC 등 기업 인프라 사업도 안정적 매출 성장세를 이어가며 실적 개선을 이끌었다.
스마트홈 부문은 전년비 9.5% 상승한 2조2037억원을, IPTV 수익은 견조한 가입자 성장에 따라 전년비 9.6% 성장한 1조2556억원을 기록했다. 초고속인터넷은 기가 가입자의 증가로 전년비 9.2% 증가한 9481억원을 달성했다.
기업 대상 신사업과 IDC, 회선 사업을 포함한 기업 인프라 사업 수익은 전년비 10.7% 성장한 1조4926억원을 달성하며 기업 신성장 동력으로서 입지를 다졌다. 신사업의 수익 확대와 IDC, 전용회선 등이 사업 성장의 이유다.
LG유플러스는 "향후 지속적인 투자로 데이터 품질 등 통신 본원 경쟁력에 집중하는 한편 멤버십∙결합 상품∙콘텐츠를 고도화해 고객 해지율이 가장 낮은 통신사로 거듭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