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항공(대표이사 우기홍)이 여러 대의 드론으로 항공기를 검사할 수 있는 기술을 시연했다. 드론 정비가 상용화될 경우 최대 60%까지 정비 시간이 단축될 것으로 기대돼 관심이 쏠리고 있다.
16일 대한항공은 서울 강서구 본사 격납고에서 ‘군집드론을 활용한 기체검사 솔루션’ 시연 행사를 실시했다고 밝혔다. 행사에는 우기홍 대한항공 대표이사 사장, 김용석 국토교통부 항공정책실장 등 주요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16일 ‘군집드론 활용 기체검사 솔루션 개발’ 행사에서 대한항공의 정비 드론이 시연을 진행하고 있다. [사진=대한항공]
대한항공은 약 1년 동안 ‘군집 드론을 활용한 기체검사 솔루션’을 개발해왔다. 가로∙세로 약 1m, 5.5kg의 드론 4대가 투입돼 동체 상태를 검사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했다. 각 드론은 사전에 설정된 영역을 비행하며 영상을 촬영한다. 대한항공은 “어느 한 드론이 고장 나더라도 나머지 드론이 상호보완해 임무를 완수할 수 있다”며 “드론 4대를 투입하면 현재 육안으로 약 10시간 동안 진행되는 동체 검사 시간을 약 4시간으로 60% 가량 단축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드론을 이용한 항공기 동체 검사는 작업자가 육안으로 항공기를 검사하는 현재의 정비 시스템을 완전히 탈피해, 안전 사고의 위험을 줄임과 동기에 정확하고 빠른 정비를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현재 해외 항공사에서 도입되고 있는 단계다. 이번 개발은 정부의 항공정비(MRO) 산업 경쟁력 강화 및 항공제도 개선 정책과 연계됐다. 대한항공은 기술 개발 뿐 아니라 안전요원 배치, 드론 운영 및 안전관리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정비 규정을 개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