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코로나19의 본격적인 확산으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 2단계 이후 비대면 관련 수요와 공급이 큰 폭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10일 매칭 플랫폼 숨고의 ‘생활서비스 언택트 트렌드 리포트’에 따르면 지난해 8월 이후 비대면 서비스 수요∙공급은 각 30% 이상 증가했다. 이번 리포트는 수도권에 사회적 거리두기 2단계가 처음 시행된 시점인 지난해 8월부터 올해 2월까지 숨고의 언택트 서비스 견적서 60만건을 분석한 결과다.
비대면 서비스 수요∙공급 변화. [이미지=숨고]
숨고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수도권의 사회적 거리두기 지침이 2.5단계로 격상되자 비대면 서비스를 요청한 고객(수요자)은 34.62% 증가했다. 이에 같은 기간 공급자도 비대면 방식으로 서비스를 제공하겠다는 답변이 53.37% 늘었다.
조사 기간 내 비대면 서비스는 영어 과외, 수학 과외, 이력서∙자소서 컨설팅, 영상 편집 등 순으로 인기가 높았다. 아울러 대면 서비스가 가능하더라도 비대면 서비스를 선호하는 고객들도 많아졌다. 또, 번역∙통역, 마케팅∙리서치 대행, 개발∙퍼블리싱 등 비즈니스 영역의 서비스는 통상 50% 이상이 비대면 서비스를 선택하는 경향을 보였다.
비대면 서비스의 수요∙공급은 사회적 거리두기 지침 변화에 따라 크게 출렁였다. 지난해 8월 19일, 수도권 지역에 사회적 거리두기 2단계가 시행되면서 비대면 서비스의 수요∙공급이 급증했다. 이후 소강 상태를 보이다가 같은 해 12월 6일 수도권 거리두기가 2.5단계로 격상되자 비대면 서비스의 수요∙공급이 또 한번 크게 늘어났다. 2.5단계 시행 전후 비대면 서비스 수요는 31.0% 차이를 보였다.
사회적 거리두기 정책에 따라 다중이용시설이 제한되며 어쩔 수 없이 비대면 서비스를 요청하는 경우도 있었지만, 대면 서비스가 가능함에도 비대면 서비스를 요청한 경우도 많았다. 이는 수요자와 공급자 모두 보건 및 안전에 대한 의식 수준이 높아진 것으로 풀이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