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국내 갈 곳 없는 지방은행, 해외로 발 돌려

- 시중은행과의 좁힐 수 없는 ‘갭’…’의무대출 비율’ 낮춰야

  • 기사등록 2020-11-10 14:59:08
기사수정
[더밸류뉴스=허동규 기자]

국내 지방의 균형 발전을 위해 설립된 지방은행들이 점차 해외로 사업 영역을 확대해 가고 있다. 이는 전국적으로 영업망을 가진 시중은행들과 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금융핀테크 기업들이 은행업으로 진출하면서 돌파구를 마련한 것으로 보인다.


부산 문현동 BNK금융그룹 본사. [사진=더밸류뉴스(BNK금융그룹 제공)]

두꺼운 충성고객으로 변하지 않을 것 같았던 지방은행들도 점차 시중은행들과 인터넷은행들로 인한 국내 영업의 어려움에 직면하자 활동영역을 해외로 넓히기 시작했다. 현재 지방은행은 △경남은행 △부산은행(138930) △전북은행(175330) △광주은행 △대구은행 △제주은행(006220) 등 모두 6곳이다. 


해외진출 성과가 가장 좋은 곳은 전북은행과 광주은행을 보유하고 있는 JB금융지주(175330)다. JB금융지주는 2016년에 캄보디아 프놈펜상업은행을 인수했는데 지난해 상반기에 100억원의 순이익을 내는 등 매년 급성장 중이다. 올해 3분기까지도 전년비 0.8% 늘어난 145억원의 순이익을 냈다.


프놈펜상업은행의 선방 덕에 JB금융지주는 올해 상반기 전북은행과 광주은행의 실적 부진에도 불구하고 3621억원의 순이익을 기록한 지난해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대구은행을 소유한 DGB금융그룹(139130)은 2018년 캄보디아 현지 은행을 인수했고 지난해에는 미얀마 진출에 성공했다.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가 확산된 올해 8월에도 베트남 호찌민 지점을 설립하면서 해외 거점을 늘렸다. 


또한 김태오 DGB금융그룹 대표이사는 캄보디아를 중심으로 베트남, 미얀마, 라오스 등을 잇는 ‘인도차이나 금융벨트’를 만들겠다는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현재 베트남 베트콤은행(Vietcombank), 캄보디아 핀테크업체인 파이페이(Pi-Pay), 쿨빈(Coolbeans) 등 현지 금융회사와 협력을 늘리고 있다.


부산은행과 경남은행의 지주사인 BNK금융그룹(138930) 역시 올해 7월 난징시에서 두 번째 중국 지점을 열었다. 난징지점 개점으로 부산은행은 총 6개의 해외 지점을 보유하게 됐는데 중국 칭다오, 베트남 호찌민·하노이, 미얀마 양곤, 인도 뭄바이 등에 지점을 두고 있다.


이에 따라 해외 대출 규모도 꾸준히 확대되는 추세다. 2018년 말 9551억원이던 외화대출금은 지난해 말 1조310억원으로 증가했고 3개월만에 400억원가량이 늘어 올해 3월 말 현재 1조715억원을 기록하고 있다.


◆지방은행, 시중은행과 좁힐 수 없는 격차


시중은행 및 지방은행 최근 3년간 당기순이익 변화 추이. [이미지=더밸류뉴스]

지방은행들에게 해외진출 성공여부는 기업 생존과 이어지는 중요한 과제다. 지방은행과 시중은행의 격차는 좀처럼 좁혀질 기세가 보이지 않기 때문이다. 


더밸류뉴스에서 조사해본 결과 시중은행 4곳과 지방은행 6곳의 당기순이익은 10배가량 차이가 나는 것으로 밝혀졌다. 지방은행의 수가 2곳 더 많음에도 불구하고 시중은행이 압도하는 모습을 보였다. 


지방은행은 지역 균형 발전을 위해 1967년부터 설립되기 시작했다. 지역 소재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지역 경제의 버팀목 역할을 해왔다. 


지방은행은 지역민의 충성도가 커 글로벌 금융 위기 이후 2010년대 중반까진 수익성과 건전성 측면에서 시중은행보다 나은 성과를 기록했다. 그러나 그 이후 제조업 위주의 지역 경제가 무너지기 시작하면서 상황이 달라졌다.


최근 들어 조선업, 자동차, 기계 등 지방에 중심을 두고 있는 전통산업이 점차 후퇴하고 수도권에 거점을 두고 있는 첨단 지식산업들이 각광받고 있다. 


게다가 최근에는 카카오뱅크, 토스와 같은 핀테크 기업들도 금융업에 뛰어들며 오프라인 은행 지점이 급격히 줄어들다보니 충성도 높은 지역민들도 수요가 줄기 시작했다. 그러는 사이 방대한 자본력을 가진 시중은행과의 격차는 최근 5년 새 급격히 벌어졌다.


이러한 거시적 변화 이외에도 ‘의무대출 비율’이 지방은행의 발목을 잡는다는 의견도 나온다. 의무대출 비율은 일정 비율 이상 기업에 대출을 해줘야 한다는 규제이다. 


한국은행 규정에 따르면 지방은행은 60%, 시중은행은 45%를 가이드라인으로 두고 있다. 지역 기업들에 대한 원활한 자금 지원이 규제 목적이지만 이는 은행 입장에서는 치명적이다. 일반 고객들에게 제한적인 여신을 하게 되고 자금운용금액마저 작아지게 된다. 


이병윤 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지방은행은 특히 시중은행보다 중소기업 대출 비중이 높다”며 “지금처럼 경기 침체기엔 수익성이 급격히 악화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고 밝혔다. 


올해 상반기 말 기준 지방은행들의 부실 채권 비율은 0.79%로 시중은행보다 두 배 이상 높았다. 


ebing7@thevaluenews.co.kr

[저작권 ⓒ 더밸류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TAG
0
기사수정
  • 기사등록 2020-11-10 14:59:08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삼성SDS
버핏연구소 텔레그램
기획·시리즈더보기
재무분석더보기
제약·바이오더보기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