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예탁결제원이 잇따르는 사모펀드 사고 방지를 위해 기존 공모펀드에서만 적용됐던 ‘펀드넷’(FundNet) 시스템을 사모펀드까지 확대 적용한다.
3일 예탁원은 자산운용산업 인프라인 펀드넷을 통한 사모펀드 제도개선 지원사업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운용사와 수탁사 등 시장참가자가 ‘펀드넷’을 통해 펀드의 자산을 상호 체크함으로써 대형 사고를 예방하겠다는 것이다.
펀드넷은 자산운용회사·수탁회사·판매회사·일반사무관리회사 등 시장 참여자들이 펀드의 설정·환매, 결제, 운용지시, 감독지원 등을 처리할 수 있도록 예탁원이 2004년 구축한 온라인 시스템이다. 과거 전화, 팩스 등으로 처리했던 업무를 이 시스템이 대체하면서 펀드 관리의 투명성을 높였다는 평가를 받고, 현재 500개 이상의 금융기관이 이용하고 있다.
펀드자산 잔고대사 지원시스템 구조. [사진=더밸류뉴스(한국예탁결제원 제공)]
이에 예탁원이 이번에 시스템을 개편하면서 공모펀드를 넘어 사모펀드까지 펀드넷을 적용할 계획이다.
우선 펀드 자산정보를 시장참가자들이 상호 확인할 수 있는 ‘펀드자산 잔고대사 지원시스템’을 구축할 예정이다. 자산운용사와 수탁사가 이 시스템에서 전송한 정보를 토대로 펀드의 자산을 서로 비교하고 검증할 수 있게끔 하는 것이다.
또 시스템 구축을 위한 사전 작업으로 현재 시장참가자들이 자체 생성·관리하는 비 시장성 자산의 코드도 표준화할 방침이다. 예탁원은 이 사업을 위해서는 자산운용업계의 협조가 필수적인 만큼 태스크포스(TF) 구성 및 운영을 두고 업계와 협의해 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예탁원은 내년 상반기 중 이를 끝마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어 사모펀드가 주로 투자하는 비시장성 자산에 대해 운용지시를 할 수 있는 지원 서비스, 해당 거래 내역을 상시 감시할 수 있는 서비스도 구축해 나갈 계획이다.
예탁원은 “현재 공모펀드에 한정된 펀드넷을 사모펀드로 확대함으로써 시장참가자 간 상호 견제와 감시를 통해 투자자 보호를 강화할 수 있을 것”이라며 “전화 이메일 등 수작업으로 처리하는 업무를 시스템화함으로써 업무처리 안정성과 효율성을 높일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