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데이터·5G 등 디지털 인프라를 구축하고, 코로나19 시대 각광받고 있는 비대면 산업을 육성하는 21세기형 '한국판 뉴딜' 추진 방향을 발표했다.
7일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2차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 회의를 열고 한국판 뉴딜 추진 방향을 확정했다. 향후 2~3년 간 정부는 데이터·5G(5세대 이동통신)·AI(인공지능) 등 디지털 인프라 구축, 비대면 산업 집중 육성, 국가기반시설(SOC)의 디지털화 등을 추진한다.
홍 부총리는 모두발언에서 “이번 코로나 위기는 전 세계적 동시 충격, 수요·공급 동시 위축, 비대면화·디지털화의 급격한 가속화 등 경제·사회구조 변화까지 동반하는 양상을 보인다”며 "이를 기회로 살릴 한국판 뉴딜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한국판 뉴딜을 코로나19 계기 경제·사회구조 변화에 대한 대응이라고 설명했다. 우리 경제의 디지털화 가속과 비대면화 촉진 등에 중점을 둔 디지털 기반 일자리 창출, 경제혁신 가속화 프로젝트로도 요약했다.
한국판 뉴딜 프로젝트. [사진=더밸류뉴스(기획재정부 제공)]
구체적으로는 △데이터 전 주기 인프라 강화, △국민체감 핵심 6대 분야 데이터 수집·활용 확대, △5G 인프라 조기 구축 Δ5G+ 융복합 사업 촉진, △AI 데이터·인프라 확충, △전산업으로 AI 융합 확산, △비대면 서비스 확산 기반 조성, △클라우드 및 사이버안전망 강화, △노후 국가기반시설 디지털화, △디지털 물류서비스 체계 구축 등을 10대 중점과제로 꼽았다.
김용범 기획재정부 1차관은 "3대 분야의 혁신 프로젝트에 대규모 재정투자와 함께 제도개선도 병행 추진해 혁신을 통한 융복합 산업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의 선순환 구조를 빠르게 구축할 것이다"라고 말했다.
정부는 이달 말까지 프로젝트별 세부사업을 마련해 다음달 초 한국판 뉴딜 세부 추진 방안을 확정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