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증권사의 파생결합증권(ELS·DLS) 발행액이 역대 최대치를 갱신한 것으로 나타났다. 저금리가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글로벌 증시 상승에 힘입어 조기상환이 증가하면서 주가연계증권(ELS) 투자 수요가 확대됐기 때문이다.
27일 금융감독원의 '2019년 중 증권회사 파생결합증권 발행·운용 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파생결합증권 발행액이 역대 최대인 129조원으로 전년비 13조1000억원(11.3%) 증가했다.
파생결합증권 발행 현황. [사진=더밸류뉴스(금융감독원 제공)]
부분적으로 보면 ELS 발행액이 큰 폭으로 늘었다. 지난해 ELS 발행액은 역대 최대인 99조9000억원으로 전년비 15.2% 증가했다. 저금리에 글로벌 주식시장이 상승세를 이어가며 조기상환이 늘자 투자수요가 확대된 것이다. 실제로 지난해 연간 유로스톡스50은 24.8%, 스탠다드앤드푸어스(S&P)500는 28.9% 상승했다.
ELS 발행액은 지수형이 82조2000억원으로 가장 많았다. 비중은 전년비 4.9%포인트 떨어졌으나 여전히 전체 ELS 발행액 대부분(85.3%)을 차지했다. 기초자산이 3개 이상인 ELS 발행비중은 74.3%로 전년 대비 3%포인트 늘었다. 반면 기초자산이 2개인 ELS는 발행 규모 및 비중이 감소했다.
기초자산별 발행규모는 유로스톡스50(65조6000억원), S&P500(61조3000억원), 홍콩H지수(51조원), 니케이225(31조2000원) 등의 순이다. 원금보장형 발행 비중도 2018년 21.5%에서 지난해 23.2%로 확대됐다.
지난 한 해 동안 주식시장이 큰 하락 없이 전반적으로 상승 또는 보합을 꾸준히 유지하면서 ELS 상환액도 큰 폭으로 증가했다. 상환액은 100조1000억원으로 전년비 32조7000억원 증가했다. 발행잔액은 역대 최대 발행에도 불구하고 조기 상환액도 큰 폭으로 증가하면서 전년비 2.6% 하락한 71조원을 기록했다.
파생결합증권(DLS) 발행액은 29조1000억원으로 2018년(29조2000억원)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주식 등이 함께 포함된 혼합형 DLS 발행이 일부 늘었다. 기초자산별로는 양도성예금증서(CD)금리 등 금리 기초 DLS의 비중(35.9%)이 가장 높고, 신용(25.4%), 환율(4.3%) 등의 순이다.
지난해 DLS 상환액은 29조5000억원으로 전년비 4조9000억원(19.9%) 증가했다. 지난해와 비교해 조기 상환액(15조8000억원)이 만기 상환액(13조7000억원)을 상회했다. 지난해 말 기준 DLS 발행잔액은 37조2000억원으로 전년비 4.4% 줄었다. 이는 조기상환액이 전년보다 크게 증가했기 때문이다.
증권사의 자체헤지도 증가했다. 지난해 말 파생결합증권 발행자금 운용 중 자체헤지 방식은 60조7000억원으로 전비 4.4% 늘었다. 이는 ELS 부분의 자체헤지 증가분 때문이며 DLS 자체헤지 규모는 전년비 2.1%포인트 줄었다.
지난해 중 파생결합증권 투자자의 투자이익은 2018년 2조3000억원에서 지난해 4조원으로 큰 폭으로 늘었다. 아울러 수익률도 ELS 2.6%에서 4.3%로, DLS 0.6%에서 2.3%로 확대됐다. 이는 주요 지수 상승으로 조기상환 규모가 확대된 영향이다.
Knock-In ∙ No Knock-In형 ELS 발행 현황. [사진=더밸류뉴스(금융감독원 제공)]
지난해 말 기준 원금손실 기준점을 제시하는 녹인(Knock-In)이 발생한 파생결합증권은 1805억원이었다. 해당 파생결합증권 대부분(89.4%)은 올해 하반기 이후 만기가 도래한다. 녹인 발생 ELS의 유형을 살펴보면 개별 종목이 포함된 종목형·혼합형이 1793억원(99.3%), 지수형은 12억원(0.7%)이었다.
금감원은 "최근 코로나19 및 밸류에이션 부담 등으로 증시 변동성이 증가함에 따라 주요 지수 하락에 따른 파생결합증권 낙인규모 추이, 파생결합증권 시장에 대한 영향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중"이라고 언급했다.
이어 "국내 증권회사의 자체헤지 규모 및 비중이 지속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헤지자산 운용 리스크 관리에 대한 관리수준을 강화토록 유도할 필요가 있다"며 "특히 코로나19와 같은 위기 상황 발생에 따라 자체헤지 운용이 여타 금융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점검 중"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