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국내 10대 그룹 상장사들의 영업이익이 전년비 약 60%나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미∙중 무역 분쟁과 일본의 수출 규제 등이 큰 영향으로 조사됐다.
1일 대기업집단 전문 데이터베이스 인포빅스가 10대 그룹 비금융 계열사 94곳의 실적을 분석한 결과 지난해 전체 영업이익은 34조7737억원으로 전년비 59.89% 감소했다. 이들 기업의 2018년 영업이익은 86조6928억원이었다.
서울 여의도증권가 전경. [사진=더밸류뉴스]
그룹별로 삼성그룹 12개 계열사는 지난해 영업이익이 16조2212억으로 전년비 64.87% 감소했다. 특히 삼성전자의 영업이익이 2018년 43조6995억원에서 지난해 14조1151억원으로 67.70% 급감했다. 지난해 삼성전자의 실적 부진에는 반도체 불황뿐 아니라 2018년 반도체 호황의 역(逆) 기저효과도 작용했다.
SK그룹의 경우 19개 계열사의 지난해 영업이익은 6조2125억원이었다. 이는 2018년 25조6323억원보다 75.76% 급감한 수치다. SK그룹의 핵심 계열사인 SK하이닉스의 지난해 영업이익은 1조9832억원으로 전년비 90.36% 급감했다.
LG그룹 역시 지난해 영업이익은 1조5592억원으로 전년비 64.10% 급감했다. 그룹 핵심 계열사인 LG디스플레이는 액정표시장치(LCD) TV 패널 가격이 급락하며 적자 폭이 확대됐고, LG전자 영업이익은 전년비 65.96% 줄었다.
롯데그룹은 지난해 영업이익은 1조8531억원으로 전년비 31.35% 감소했다. 도소매, 식료품 업종의 부진으로 롯데쇼핑과 롯데하이마트의 영업이익이 각각 32.77%, 41.09% 급감한 등의 영향이 컸다.
신세계그룹의 지난해 영업이익은 전년비 25.50% 줄었는데 이는 이마트의 영업이익이 48.68% 줄어들었기 때문이다.
항공업계는 업황이 악화되면서 한진그룹의 실적도 부진을 면치 못했다. 한진그룹의 지난해 영업이익은 전년비 58.45% 급감했다. 대한항공의 영업이익은 58.99% 감소했고 진에어는 적자 전환했다. 한화그룹도 지난해 영업이익이 전년비 38.64% 줄었다.
반면 현대차그룹은 주력인 현대차가 흑자 전환하고 기아차 영업이익이 전년비 276.69%나 급증한 영향으로 그룹 전체 영업이익이 5조8716억원으로 전년비 65.70% 증가했다.
현대중공업 계열사 6곳의 지난해 영업이익도 전년비 121.67%나 급증한 2459억원을 기록했다. 현대중공업 핵심 계열사인 한국조선해양의 지난해 영업이익은 246억원으로 지난해 영업손실 2916억원과 비교해 흑자 전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