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영향으로 지난달 유통업체 전체 매출에서 온라인이 차지하는 비중이 절반으로 급증했다.
30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2월 국내 주요 유통업체 매출은 코로나19 여파에도 전년비 9.1% 증가했다. 오프라인이 7.5% 감소했지만 온라인이 34.3% 늘며 전체 매출 성장을 주도한 것이다.
코로나19로 온라인 소비가 폭증한 모습이다. 쿠팡·G마켓·SSG닷컴 등이 포함된 온라인업체의 배송 수요가 증가로 인한 매출 증가 폭은 2016년 6월 통계개편 이후 최대다. 재택근무 확산으로 생필품과 식료품 온라인 판매가 크게 늘어났는데, 온라인 장보기 수요가 늘면서 식품 매출은 92.5% 증가했다. 마스크를 비롯한 위생상품 판매 증가로 생활·가구 매출도 44.5% 뛰었다.
이에 따라 지난달 전체 유통업체 매출 10조6000억원에서 온라인 유통업체가 차지하는 비중은 49.0%로 전년비 9.2%포인트 증가했다. 온라인 유통업체 구성비는 2018년 37.8%에서 지난해 41.2%로 꾸준히 증가하다 지난달 코로나19 영향에 50% 수준까지 확대됐다.
2월 기준 전년동월 대비 매출증감률(%) 추세. [사진=더밸류뉴스(산업통상자원부 제공)]
반대로 오프라인 매출은 7.5% 감소하며 2018년 1월(-9.2%) 이후 가장 큰 폭으로 줄며 대조를 이뤘다.
백화점은 전체 매출이 21.4% 감소했다. 여성캐주얼이 41.3%, 아동스포츠 37.2% 감소하는 등 전 부문 매출이 줄며 감소폭을 키웠다. 고객 발길이 끊기며 구매건수는 33.0%나 줄었다.
대형마트도 매출이 10.6% 감소했다. 신선식품 수요에 힘입어 식품 매출은 2.9% 감소에 그쳤지만 신학기 효과가 사라지며 의류와 잡화 매출이 각각 46.5%, 41.5% 줄었다. 기존점 매출마저 9.7%, 구매건수는 16.1% 감소했다.
하지만 매출이 하락한 오프라인 유통 내에서도 업태별 희비가 갈렸다. 근거리 소비 선호 영향으로 편의점과 기업형슈퍼마켓(SSM) 매출은 오히려 늘어난 것이다.
편의점과 SSM 매출은 각각 7.8%, 8.2% 늘었다. 편의점은 마스크 및 안전상비의약품 판매 증가로 생활용품이 늘었고, SSM역시 근거리 소비선호와 신선식품 수요가 증가했기 때문이다.
유통업계 관계자는 “이번 코로나19로 인한 온라인 매출 증가가 단기적 현상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소비 패러다임에 변화를 일으키는 기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