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가 외식·식품업계를 뒤흔들고 있다. 전통의 업계 1위 브랜드들은 ‘자존심’을 버리고 다른 영역에 팔을 뻗고, 장수 브랜드들은 위기 속에서 기회를 찾기 위해 신제품을 쏟아내고 있다.
국내 치킨업계 1위 교촌치킨은 ‘교촌 닭갈비 볶음밥’ 등 가정간편식(HMR)을 전국 매장에 내놓은 데 이어 최근 ‘리얼치킨버거’를 선보이며 버거 시장에도 뛰어들었다. 1991년 창업이 5~7년마다 신제품을 내놓는 교촌치킨은 소스 개발 하나에도 엄격한 과정을 거쳤지만, 올 들어 전략을 바꾼 것이다.
국내 주류업계 1위 하이트진로는 코로나19에 밖에서 술 마시는 사람이 줄자 편의점에서 ‘쏘맥 세트’를 할인해 팔기로 했다. CU 관계자는 “해외 캔맥주나 인지도가 낮은 수제맥주를 할인해 파는 경우는 많았지만 가장 인기 있는 국산 맥주와 소주를 묶어 할인 마케팅을 하는 건 이번이 처음”이라며 “외식 시장에서 판매량이 줄자 주류업계가 편의점에서 돌파구를 찾고 있다”고 했다.
가맹점 수 국내 1위인 버거 프랜차이즈 롯데리아는 지난주 ‘1인 혼닭’ 메뉴를 선보였다. 1만원에 혼자 즐길 수 있는 옛날통닭 튀김으로 치킨 배달 업체들과의 경쟁에 나섰다.
롯데리아의 ‘1인 혼닭’ 메뉴 광고. [사진=더밸류뉴스(롯데리아 제공)]
이처럼 외식업체들이 공격적으로 영업에 나서고 있다. 전국에 가맹점을 두고 있는 프랜차이즈 본사는 가맹점 수익을 지키기 위해 더 많은 신제품을 쏟아내며, 배달 앱과 벌이는 할인 행사에도 적극적이다.
파리바게뜨, 배스킨라빈스, 던킨, 파스쿠찌, 쉐이크쉑버거 등을 거느린 SPC그룹은 브랜드별로 신제품을 내놓는 중이다. 배스킨라빈스는 킷캣, 오레오, 농심 바나나킥 등과 함께 신제품을 잇달아 출시했다. 던킨도 펭수도넛, 헬로키티 도넛, 리세스 도넛 등 눈길을 끄는 제품들을 선보였다. SPC는 “이런 때일수록 적극적으로 신제품을 내놓고 소비자와 가맹점주에게 도움이 되도록 하는 게 프랜차이즈 본사의 역할”이라고 말했다.
외식 자영업자들은 자체 온라인몰 등을 통해 직접 포장 및 배송에 나서는 등 ‘맛집 배달’로 방향을 트는 중이다. 순대 맛집, 갈비 전문점은 물론 레스토랑까지 밀키트 배송 시장에 뛰어들었다.
이와 같은 기업들의 사업 전략 다변화는 경쟁 사회에서 기업들이 살아남기 위한 선택으로 다윈의 진화론적 메커니즘을 연상케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