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으로 은행을 사칭한 대출사기나 불법대출광고 스팸문자를 금융 소비자가 받는 일이 크게 줄 것으로 보인다.
14일 금융감독원은 서울 여의도 금감원에서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은행연합회, 농·수협중앙회, 15개 은행, 후후앤컴퍼니 등과 대출사기·불법대출광고 스팸 문자에 공동 대응하기 위한 업무 협약을 맺었다고 밝혔다.
금감원과 은행권 등은 급증하는 대출사기 문자를 걸러내기 위한 시스템 구축을 끝내고 15일부터 시스템 적용을 시작한다.
금감원은 국내 은행이 보유 중인 약 20만건의 전화번호(화이트리스트)를 일일이 수집해 KISA의 사기방지 시스템과 연동시켰다. KISA는 스팸신고를 받은 전화번호를 집적해 놓고 있는데 이 스팸번호와 은행의 공식번호를 대조해 일치하지 않으면 아예 휴대폰으로 해당 문자가 발송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방식이다.
은행사칭 대출사기·불법대출광고 스팸문자 대응 시스템. [사진=금융감독원]
KB국민은행 등 4개 은행을 대상으로 스팸차단 시스템을 3개월여 시범운용을 해 본 결과 월 평균 약 300만건, 연환산 3600만건의 스팸문자가 차단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스팸발송 전화번호 기준으로는 일별 최소 5개에서 최대 50개의전화번호 차단이 가능하다.
사전에 신고되지 않은 스팸문자는 '후후앱'을 통해 실시간 걸러지기 때문에 새로운 번호로 스팸번호를 만들어 대출사기를 벌이는 일도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금감원은 "후후 앱은 LG와 KT 이용자의 경우 기본적으로 휴대전화에 깔려있고 SK 이용자는 직접 깔면 된다"며 "스팸 문자를 보내기 위해 전화번호를 생성하는 속도보다 차단되는 속도가 훨씬 빨라 결국 스팸 문자의 씨가 마를 것이다"고 말했다.
금감원은 스팸 문자 차단 시스템을 은행권에 먼저 적용한 뒤 저축은행, 캐피탈 등 전 금융권으로 확대할 방침이다.
윤석헌 금감원장은 협약식 인사말에서 "장기적으로 대출사기 문자 방지 시스템에 인공지능(AI) 알고리즘을 접목해 대출사기 대응 체계 고도화를 추진할 것"이라며 "금융권은 레그테크(IT 기술을 활용해 금융규제 준수 관련 업무를 자동화·효율화하는 기법)에 대한 적극적인 투자로 준법 감시 기능을 강화해달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