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후 1년 간의 물가 상승률 전망치를 나타내는 기대인플레이션이 3개월 연속 하락해 역대 최저를 기록했다. 다만 소비자의 경제 상황에 대한 심리를 보여주는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두 달 연속 상승했다.
25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10월 소비자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이달 기대인플레이션율은 지난 9월보다 0.1% 포인트 하락한 1.7%를 기록했다. 이는 관련 통계를 집계하기 시작한 지난 2002년 2월 이후 가장 낮은 수치다.
마트에 과일이 진열돼 있다. [사진=더밸류뉴스]
한은은 기대물가가 하락한 이유를 소비자물가상승률 등 지표물가가 낮게 나오면서 일반 소비자들의 물가상승률 기대치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했다. 아울러 지난 1년 간 소비자물가상승률에 대한 인식을 보여주는 물가인식도 지난달 1.9%에서 이달 1.8%로 낮아져 지난 2013년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을 나타냈다.
다만,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이달 98.6을 기록해 한 달 전보다 1.7 포인트 올라 지난 4월 101.6 이후 6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소비자심리지수는 장기평균치(2003년 1월 ∼2018년 12월) 100을 기준으로 이보다 낮으면 소비자들의 심리가 비관적임을 뜻하는데, 한 달 전보다는 좋아졌지만 여전히 부정적인 견해가 많다는 것이다. 한은은 “주가 상승, 미·중 무역협상 진전, 고용지표 개선 등에 소비자심리지수가 올랐다”고 설명했다.
소비자심리지수 추이. [사진=한국은행]
주요지수별로 보면 가계 재정 상황에 대한 인식을 보여주는 생활형편전망 소비자동향지수(CSI)는 1포인트 오른 93을 기록했고, 가계수입전망 CSI는 97로 지난달과 같은 수치다. 현재생활형편 CSI는 92, 소비지출전망 CSI는 2포인트 상승한 108을 기록했다. 또 소비자들이 경제 상황을 어떻게 판단하는지 보여주는 현재경기판단 CSI는 4포인트 반등한 72, 향후경기전망 CSI는 2포인트 오른 77의 수치를 나타냈다.
서울시의 아파트 가격이 더 오른다는 기대 속에 주택가격전망 CSI는 115로 지난달보다 6포인트 올랐다. 한은은 “서울 지역의 아파트 매매가격 오름세 지속 등의 영향으로 주택가격전망 CSI가 상승했다”고 언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