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로시간을 주 36시간으로 환산한 기준으로 보면 올해 취업자 수는 정부 발표와 달리 2017년 대비 20만 명 이상 감소했다는 분석이 나왔다.
4일 한국경제연구원이 박기성 성신여대 교수에게 의뢰해 분석한 ‘근로시간을 고려한 취업자 수 분석’ 자료에 따르면 1주일에 36시간 기준으로 취업자 수를 환산한 결과, 취업자 수는 2019년 2488만4000명으로 지난 2017년 2509만1000명에 비해 무려 20만7000명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고용노동부의 주52시간 홍보 캠페인 이미지. [사진=고용노동부]
이는 정부에서 공표한 취업자 수가 같은 기간 2699만2000명에서 2732만2000명으로 33만 명 증가한 것과는 상반된 결과다. 한경연은 “통계상의 취업자 수는 늘고 있지만 들여다보면 36시간 미만의 취업자가 주로 증가한 결과임을 알 수 있다”고 전했다.
연령대별 취업자 및 환산취업자. [사진=한국경제연구원]
실제로 이 기간 동안 주 36시간 이상 일한 취업자 수는 71만5000명이 감소한 반면 주 36시간 미만 일한 취업자는 100만5000명이 증가한 것으로 분석됐다.
60대 이상에서는 취업자가 59만4000명 늘어났으나 주 36시간 이상 일자리 기준 환산 취업자 수는 36만3000명 증가에 그쳤다. 20대 이하에서는 취업자가 4만8000명 줄었으나 36시간 근로시간 환산 취업자 수는 10만8000명이 감소했다. 30~40대의 경우 취업자 수는 약 37만 명이 줄었지만 환산 취업자 수는 52만7000명이나 감소한 것으로 분석됐다.
연구용역을 진행한 박기성 성신여대 교수는 "단기 일자리 촉진, 최저임금 인상, 근로시간 단축 등의 영향으로 인해 주 36시간 이상 근무할 수 있는 일자리가 단시간 근로로 대체되면서 나타나는 현상"이라고 설명했다.
박기성 교수는 이어 "정부의 고용동향 발표에 주 36시간 이상 일자리 기준 환산 취업자 수 등의 보조지표가 함께 제공되면 일자리 정책을 질적으로 평가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며 "36시간 이상의 양질 일자리를 만드는 데 더 힘을 쏟아야 할 때"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