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로시간을 주 36시간으로 환산한 기준으로 보면 올해 취업자 수는 정부 발표와 달리 2017년 대비 20만 명 이상 감소했다는 분석이 나왔다.
4일 한국경제연구원이 박기성 성신여대 교수에게 의뢰해 분석한 ‘근로시간을 고려한 취업자 수 분석’ 자료에 따르면 1주일에 36시간 기준으로 취업자 수를 환산한 결과, 취업자 수는 2019년 2488만4000명으로 지난 2017년 2509만1000명에 비해 무려 20만7000명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정부에서 공표한 취업자 수가 같은 기간 2699만2000명에서 2732만2000명으로 33만 명 증가한 것과는 상반된 결과다. 한경연은 “통계상의 취업자 수는 늘고 있지만 들여다보면 36시간 미만의 취업자가 주로 증가한 결과임을 알 수 있다”고 전했다.
실제로 이 기간 동안 주 36시간 이상 일한 취업자 수는 71만5000명이 감소한 반면 주 36시간 미만 일한 취업자는 100만5000명이 증가한 것으로 분석됐다.
60대 이상에서는 취업자가 59만4000명 늘어났으나 주 36시간 이상 일자리 기준 환산 취업자 수는 36만3000명 증가에 그쳤다. 20대 이하에서는 취업자가 4만8000명 줄었으나 36시간 근로시간 환산 취업자 수는 10만8000명이 감소했다. 30~40대의 경우 취업자 수는 약 37만 명이 줄었지만 환산 취업자 수는 52만7000명이나 감소한 것으로 분석됐다.
연구용역을 진행한 박기성 성신여대 교수는 "단기 일자리 촉진, 최저임금 인상, 근로시간 단축 등의 영향으로 인해 주 36시간 이상 근무할 수 있는 일자리가 단시간 근로로 대체되면서 나타나는 현상"이라고 설명했다.
박기성 교수는 이어 "정부의 고용동향 발표에 주 36시간 이상 일자리 기준 환산 취업자 수 등의 보조지표가 함께 제공되면 일자리 정책을 질적으로 평가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며 "36시간 이상의 양질 일자리를 만드는 데 더 힘을 쏟아야 할 때"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