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출생아 수가 해를 거듭할수록 최저 기록을 갱신하고 있다. 지난 4월 또다시 역대 최저 수준을 찍었다.
2019년 4월 인구동향에 따르면 출생아수와 인구 자연증가분이 1981년 이래 최저치를 기록했다. [자료=통계청]
통계청이 26일 발표한 '2019년 4월 인구동향'에 따르면 올해 4월 출생아 수는 전년동기비 1천700명(6.1%)이 줄어든 2만6천100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37개월째 이어지는 최저 수치로 1981년 월별 통계 집계를 시작한 이후 가장 적은 수치다.
갈수록 낮아지는 출생아 수 [사진=pixabay]
일반적으로 월별 출생아 수는 계절·월 선호도 영향을 고려하여 통상 전년 동월과 비교된다.
인구 1천명당 출생아 수를 나타내는 '조출생률'은 6.2명으로 집계됐다.
4월 사망자 수는 2만3천900명으로 1년 전보다 100명(0.4%) 감소했다. 조사망률은 5.7명이었다. 사망자 수는 작년 11월 이후 6개월째 감소하고 있다.
4월 인구 자연증가분은 출생아 수에서 사망자 수를 뺀 2천200명이다. 마찬가지로 1981년 이래 최저치다.
4월 혼인 건수는 2만 건으로 1년 전보다 600건(2.9%) 감소했다. 조혼인율은 4.7명이었다.혼인은 전년동기와 비교해 지난해 11월 기준 6개월 연속 감소세다.
반면 4월 이혼 건수는 9천500건으로 1년 전보다 800건(9.2%)이 증가했다. 조이혼율은 2.3명이다. 이혼은 4월 기준, 2014년(9천576건) 이후 가장 많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