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표그룹(회장 정도원)이 임원 대상 안전 교육을 실시해, 작업자 스스로 위험을 인지하고 관리하는 자율 안전문화를 확산하기 위한 안전보건경영체계 강화에 나섰다.
삼표그룹은 지난 25일 서울 바비엥2 교육센터에서 ‘2025년 임원 안전 세션’을 개최했다고 29일 밝혔다. 이번 교육은 전 계열사 임직원의 안전 의식 제고와 작업환경 개선을 목표로 맞춤형 프로그램으로 진행됐다.
삼표그룹이 지난 25일 서울 바비엥2 교육센터에서 '2025년 임원 안전 세션'을 개최, 안전보건을 강조하며 체계적 운영 방침에 대한 논의를 진행했다. [사진=삼표그룹]
삼표그룹은 주력 사업인 시멘트를 비롯해 레미콘, 골재, 철도, 콘크리트, 환경자원, 건설소재 등 7개 부문별로 실질적인 위험 요소를 분석하고 대응 방안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는 데 중점을 뒀다.
시멘트 부문에서는 '작업자 스스로 지키는 안전문화'를 강조했다. 작업자가 직접 위험성 평가와 안전작업표준서를 작성, 스스로 안전을 지키고 동료의 안전까지 책임지는 소통을 강조했다. 레미콘 부문은 안전 성숙도 목표를 ‘의존적’ 단계에서 ‘독립적’ 단계로 높이고, 경영진 안전관찰 활동(VFL, Visible Felt Leadership)도 확대한다.
골재 부문은 작업 전 안전점검회의(TBM) 활성화를 명확히 했다. 맞춤식 동영상을 제작해 작업 방법과 위험 요인을 쉽게 인지하고 공유하는 활동이다. 철도 부문은 '안전점검 5 POINT' 운영 및 위험 예지 훈련을 확립했다. 설비별 안전점검표를 도식화하고, 위험 예지 훈련을 통한 위험 감지 능력 향상에 집중한다.
레미콘(콘크리트) 부문은 ‘8행 5금’ 체크리스트를 활용해 작업별 위험요소를 수치화하고, 안전 의식을 객관적으로 분석한다. 환경자원 부문은 협력사를 포함한 생산직 대상으로 안전 워크숍을 열어 자율적 참여를 유도한다. 건설소재 부문은 안전 감시단을 운영해 현장 밀착 점검과 안전업무 지원을 강화한다.
삼표그룹은 건설 현장의 사고 예방을 위해 업계 최초로 인공지능(AI)·로봇 기술을 접목한 안전 시스템 도입을 준비 중이며, 각 공장별 맞춤형 관제 시스템을 통해 작업장 위험요소와 안전 상태를 종합 분석할 계획이다.
삼표그룹 관계자는 “부문별 현장 맞춤형 위험성 평가를 강화하고, 자율적 안전 실천 문화를 정착시키기 위해 임직원과 긴밀히 소통하고 철저한 교차 점검을 이어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