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더밸류뉴스=김진구 기자 ]

[김진구 연구원]

백화점, 마트, 편의점 등 주요 유통업체들의 5월 매출동향이 발표됐다. 오프라인 유통업체들의 성장성이 지속적으로 둔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5월 주요 유통업체 합산 매출은 전년 동월 대비 6.3% 증가했다. 오프라인 유통업체의 매출은 2.5% 늘었고, 온라인 유통업체의 매출은 15.2% 증가했다. 오프라인 유통업체들은 지난 4월에 이어 성장률 둔화는 이어지고 있다.

특히 5월의 경우 휴일 영업일수가 전년대비 1일, 근로자의 날 포함 시 2일이 늘어났다는 점을 감안할 때 예상대비 부진한 실적을 기록한 것이다. 게다가 이른 더운 날씨로 인한 가전판매 수요가 예상대비 견조했고, 수입맥주를 포함한 식품군 판매 실적까지 고려할 경우 전체적인 상품군 소비개선은 더딘 것으로 판단된다.

오프라인 유통업체들의 성장성 둔화 움직임 속에서도 편의점은 전년 동월 대비 10.5% 성장해 두 자릿수 성장률을 유지했다. 하지만 백화점 및 대형마트는 전체 신장률이 지난 4월 대비 감소하는 모습을 보였다.

편의점은 오프라인 유통업체 가운데 유일하게 두 자릿수 성장을 이어갔다. 다만 매출 비중이 높은 담배 등 기타상품 성장률 둔화, 점포당 매출액이 전년대비 감소하는 추세 지속, 점포당 매출액 감소폭이 확대되는 점을 감안할 때 향후 성장성에 대한 우려감도 존재하고 있다.

한화투자증권의 남성현 애널리스트는 『편의점 담배 등 기타 성장률은 +4%를 기록했는데, 점포 증가율을 감안할 경우 점포 내에서 판매되고 있는 담배량 감소는 가속화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면서 『현재 시점에서 편의점 산업 성장성 둔화를 예측하기는 이르지만, 점포당 매출액 감소가 지속되게 되면 향후 출점 점포 수 조정도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은 고려해야 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대형마트의 성장률은 1.6%로 3개월 연속 성장하는 모습을 보였다. 특히 5월 전체적인 성장은 가전·문화와 식품부문이 견인했다.

특히 이른 무더위여파와 입 주물량 증가로 인한 이사수요 확대가 영향으로 가전 제품의 수요가 증가했고, 지난해부터 나타난 인플레이션 효과가 식품부문 성장에 작용해 식품부문의 성장이 이어졌다는 평가다.

한편 백화점의 5월 실적은 전년 동월 대비 1.9% 감소했다. 에어컨 및 청소기 등 가전제품 수요 증대로 인한 가정용품부문 성장에도 불구하고, 이를 제외한 전체적인 제품군 매출 부진이 영향을 미쳤다. 5월 가전의 경우 전년동월 대비 +15.6%을 기록하면서 두 자릿수 성장세를 이어갔다.

[Copyrigh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ihs_buffett@naver.com

[저작권 ⓒ 더밸류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0
기사수정
  • 기사등록 2017-07-03 11:18:00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버핏연구소 텔레그램
4차산업더보기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