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더밸류뉴스=권소윤 기자]

SK바이오팜(대표이사 이동훈)가 9일 1분기 매출액 1444억원, 영업이익 257억원을 기록했다고 공시했다(K-IFRS 연결). 전년동기 대비 각각 26.7%, 149.3% 증가한 수치다.


SK바이오팜, 1Q 잠정 매출액 1444억…전년동기比 26.7%↑SK바이오팜 최근 분기별 매출액 및 영업이익률 추이 [자료=더밸류뉴스]당기순이익은 전년동기 대비 약 102% 증가한 196억원을 기록했다. SK바이오팜 관계자는 “계절적 비수기에도 불구, 전년동기 대비 빠른 성장세를 이어갔다”며 “전분기 대비 매출은 감소했으나, 일회성 마일스톤(중국 NDA 제출 관련 수익) 소멸 및 외부 유통 채널의 구조조정 등 일시적 요인이고 핵심 제품인 엑스코프리(세노바메이트, 뇌전증 신약)의 미국 내 매출이 선방했다”고 설명했다.

 

엑스코프리의 1분기 미국 매출은 전년동기 대비 약 47% 증가한 1333억원을 기록했다. 처방 수는 지난 3월 이후 빠른 반등세로 월평균 신규 환자 처방 수(NBRx)가 1600건을 넘어서며 탄력을 받고 있다. 오는 2분기 이후 매출 성장 가속화가 기대된다.


이에 SK바이오팜은 “미국 내 직판 플랫폼과 특화된 세일즈 전략이 결합된 결과로, 영업 인력을 중심으로 한 NBRx 콘테스트 등 마케팅 강화가 주요 요인”이라고 밝혔다. SK바이오팜은 이달부터 미국 내 첫 DTC(Direct-to-Consumer, 소비자 직접 의뢰) 광고 캠페인을 통해 인지도를 확대, 환자 접점을 강화할 계획이다.


더불어, 세노바메이트의 적응증 및 연령 확장을 통한 시장 확대도 노린다. 올해 내 전신발작(PGTC)으로의 적응증 확장에 대한 임상 3상 탑라인(Top-line) 결과를 확보, 소아 환자의 복용을 쉽게 하는 현탁액 제형을 개발해 NDA(신약허가신청)를 제출할 예정이다.

 

차세대 성장동력 확보 가속화도 병행한다. 미국 내 직판 인프라를 활용한 ‘제2의 세노바메이트’를 목표로 한 세컨드 프로덕트 도입을 연내 진행할 계획이다. 해당 제품은 미국 내 기 구축된 세일즈 네트워크를 최대로 활용할 수 있는 제품으로 선정, 신속한 시장 진입 및 조기 수익화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방사성의약품(RPT) 및 표적단백질분해(TPD) 등 차세대 치료 기술을 중심으로 한 포트폴리오 다각화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RPT 분야에서는 고형암 치료 후보물질 ‘SKL35501’을 중심으로 개발 중이며, 미국 테라파워에 이어 벨기에 판테라와도 공급 계약을 체결하여 핵심 원료 확보 기반을 강화, SKL35501의 안정적인 개발 등에 활용할 예정이다.

 

TPD 분야에서는 SK바이오팜의 미국 현지 연구 자회사인 SK라이프사이언스랩스를 중심으로 연구개발을 본격화힌다. 최근 글로벌 제약사 출신 연구진을 추가 영입해 항암 및 표적 단백질 분해 치료제 분야 연구개발 역량을 강화했다.  미국 법인 SK라이프사이언스에도 글로벌 제약사 출신 연구진을 영입해 항암 및 희귀질환 분야의 연구개발 역량과 중추신경계(CNS) 및 RPT 분야 글로벌 임상 경쟁력을 높이고 있다.

 

AI 기반 뇌전증 관리 플랫폼 사업화도 본격 추진할 계획이다. SK바이오팜은 지난 2월 브라질 제약사 유로파마(Eurofarma)와 함께 AI 기반 조인트 벤처 설립할 예정이라고 발표, 이를 통해 뇌전증 환자 관리 플랫폼 및 웨어러블 기기 기반 디지털 치료 솔루션 개발에 착수할 것이라고 밝혔다.


vivien9667@thevaluenews.co.kr

[저작권 ⓒ 더밸류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밸류뉴스' 구독하기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광고성 정보 수신

제휴 콘텐츠, 프로모션, 이벤트 정보 등의 광고성 정보를 수신합니다.
관련기사
TAG
0
기사수정
  • 기사등록 2025-05-09 11:16:39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재계 지도 포럼
더밸류뉴스 구독하기
버핏연구소 텔레그램
4차산업혁명더보기
제약·바이오더보기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