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생활건강(대표이사 차석용)이 2분기 매출액 1조8627억원, 2166억원을 기록했다고 28일 공시했다. 전년 동기 대비 각각 7.9%, 35.5% 감소했다. 이는 지난 3월 말부터 시작된 중국 봉쇄정책이 강화되며 2분기 내내 중국 현지 사업에 큰 영향을 줬고, 우크라이나 사태가 지속되며 원자재 가격 상승이 이어진 영향이다.
다만 전분기비로는 각각 13.2%, 23.4% 개선됐다. 이는 뷰티(화장품) 사업의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전분기비 각각 21.9%, 35.2% 증가한데 기인한다. 데일리뷰티를 포함한 전체 뷰티 매출액은 1조1841억원, 영업이익은 1388억원을 달성했다. 에이치디비(홈∙데일리뷰티)와 리프레쉬먼트(음료)는 원가부담에도 매출액과 영업이익 모두 성장을 이뤘다.
서울 여의도 LG트윈타워. [사진=더밸류뉴스]
부문별로 뷰티(화장품)사업 2분기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8530억원, 933억원으로 전년비 23.6%, 57.4% 줄었다. 중국내 코로나19가 재확산되며 상하이 등 대도시가 봉쇄되고, 베이징을 비롯한 대부분의 도시에서 봉쇄에 준하는 엄격한 통제가 시행됨에 따라 외출금지, 매장 영업 중단, 물류 출하 제한이 이어져 2분기 중국 사업이 타격을 받았다.
에이치디비(홈∙데일리뷰티)사업의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전년비 각각 9.5%, 1.4% 오른 5434억원, 596억원을 달성했다. 원부자재 가격과 물류비 상승으로 원가부담이 계속되는 상황에서 데일리뷰티 프리미엄 브랜드들의 활약으로 성장세를 보였다. 리프레시먼트(음료)사업은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각각 4664억원, 637억원으로 전년비 13.9%, 10% 늘었다. 건강과 다이어트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제로 칼로리 음료인 ‘코카콜라 제로‘, ‘스프라이트 제로‘와 저칼로리 음료인 ‘몬스터 에너지 울트라’가 매출 성장을 견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