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더밸류뉴스=김진구 기자 ]

[김진구 연구원]

건설업계는 8·2 부동산 대책이 예상보다 강도가 높아 당분간 침체될 것이라는 우려감이 높아지고 있다. 여기에 올해 하반기에 금리 인상과 입주 물량 증가 등 악재들로 건설업종 투자심리 개선은 당분간 제한적일 것으로 전망된다.

대형건설사 관계자는 『서울 전 지역과 과천시, 세종시를 투기과열지구로 지정하는 등 정부의 8.2 대책은 업계의 예상보다 강도가 센 규제』라고 평가하며 『파급력을 섣불리 예견하기는 힘들지만 정부가 투기 수요를 최대한 억누르겠다는 강한 의지를 재차 드러낸 만큼 당분간 시장 상황을 예의주시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 다른 건설사 관계자는 『이번에 조정지역·투기과열지구·투기지역 지정으로 서울을 포함한 주요 지역의 분양 및 거래 시장이 위축될 것』이라며 『특히 도시정비사업에서의 조합원 지위 양도제한 및 분양권 전매 제한으로 거래가 경색되고 투기 수요도 감소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어 『이번 대책에서 규제 대상으로 지정된 지역에 분양하는 건설사 경우 분양 시기나 분양가를 조정하는 경우도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3일 현대차투자증권의 박현욱 애널리스트는 『이번 정부의 대책 발표로 투기수요가 위축됨에 따라 주택 가격은 정체되거나 상승률이 하향안정 될 것으로 예상된다『며 『LTV, DTI규제가 강화되는 투기과열지구를 중심으로 대출여건 악화로 인한 투기 수요가 위축될 것으로 전망되고, 양도소득세 중과 적용시기인 2018년 4월 이전에 매도하려는 물량으로 인한 가격 둔화가 예상된다』고 말했다.

그는 위축된 건설업종 자심리 개선은 당분간 힘들 가능성이 높다고 진단했다. 8.2 대책이 미리 예고 됐던 만큼 건설업종 주가에 어느 정도 반영돼 있지만, 규제 강도가 강해 건설업종 주가 상승이 제한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다만 『하반기 건설업체들의 해외 수주가 늘고, 중기적으로 주택 시장이 실수요자 위주로 재편이 되면 건설업종에 대한 투자심리도 나아질 수 있다』고 덧붙였다.

[Copyrigh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ihs_buffett@naver.com

[저작권 ⓒ 더밸류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0
기사수정
  • 기사등록 2017-08-03 10:43:00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버핏연구소 텔레그램
4차산업더보기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