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더밸류뉴스=김승범 기자 ]

[김승범 연구원]

SSI_20160528101653_99_20160528102604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1년만에 현재 0.25%∼0.50%인 기준 금리를 0.50%~0.75%로 0.25%p 인상했다.

최근 고용시장 개선과 물가상승 전망, 소비심리 개선, 기업인 출신인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당선에 따른 경제성장의 기대감 등이 두루 반영된 예고된 결과다.

2008년 세계 금융위기 이후 제로금리를 유지하다가 지난해 12월 0.25%의 금리인상을 단행한 이래 1년만의 인상 조치다.

아울러 연준은 정책금리 전망(점도표)을 통해 내년 중 3차례 금리 인상이 이뤄질 것을 시사했다.

200742409_99_20150601100709

한편 업계에서는 미국 기준금리인상에 따라 신흥국으로 퍼져있던 자본들이 다시 미국으로 회수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에 따라 국내 증시에도 어느 정도의 영향을 끼칠 것으로 보인다. 

단기적으로는 그 충격에 의한 증시 하락이 예측되나 금리 인상 전부터 인상 가능성이 높게 점쳐져왔고 최종 인상이 발표되면서 오히려 불확실성이 해소됐다는 점에서 장기적인 측면에서는 악재만으로 작용할 가능성은 적다.

금리 인상이 주식시장에 이미 반영돼 왔기 때문에 오히려 호재로 작용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왔다.

BNK투자증권의 임혜윤 애널리스트는 『이번 기준금리 인상의 경우, FOMC 직전 조정을 받았던 지난해와는 달리 금리 인상이 이미 시장에 반영된 상황에서 미국 경기 개선에 대한 확신이 더욱 강해질 것』이라며 『(기준금리 인상이)불확실성 해소와 외국인 수급 개선 요인으로 작용해 연말 국내 증시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전망』이라고 보았다.

또한 미국의 금리인상으로 원화약세가 예상되면서 수출 가격경쟁력 개선으로 대미수출 증가를 기대하고 있다. 미국 금리인상은 보통 달러강세에 따른 원.달러 환율 약세로 이어진다. 이 경우 수출채산성 개선 등으로 대미수출 증가가 기대되는 게 일반적이다. 스마트폰, TV 등을 수출하는 국내 정보기술(IT) 기업들의 환차익 등 실적개선이 예상되는 이유다. 

그러나 일부 전문가들은 보호무역주의 트럼프노믹스 등장으로 수출증가 효과는 반감될 것이란 전망도 나왔다. 거기에 러시아, 브라질 등 신흥국은 달러강세에 따른 자본이탈 가속화로 환율이 급등해 수입비용이 상승하는 등 우리나라의 신흥국 수출에는 악영향이 예상된다.

[Copyrigh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ihs_buffett@naver.com

[저작권 ⓒ 더밸류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0
기사수정
  • 기사등록 2016-12-15 09:42:00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버핏연구소 텔레그램
4차산업더보기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