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증권(대표이사 장석훈)의 올해 일반 채권 판매규모가 2조원을 돌파했다. 전년동기대비 47% 증가했다.
10일 삼성증권에 따르면 5월말 기준 이 증권사의 일반 채권 판매규모가 2조원을 넘었다.
이같은 채권판매호조는 금리 상승과 관련있다. 금리가 상승하면서 이미 발행돼 시장에서 거래되는 채권을 낮은 가격에 매수하면 매매차익을 기대할 수 있고, 새로 발행되는 채권은 발행 금리가 높아져 이자수익이 발생한다는 장점이 있다.
삼성증권의 금리형 상품 광고. [사진=삼성증권]
높은 이자수익을 노리는 투자자들은 은행·금융지주사가 발행한 신종자본증권과 일반 회사채로, 절세를 노리는 투자자들은 저쿠폰 국채로 몰리는 추세다. 올해 은행·금융지주사가 발행한 신종자본증권 금리는 세전 연 4%대 중후반에 달했는데, 지난 5월 3일 발행된 신종자본증권의 발행금리는 세전 연 4.5%대, 5월 10일 발행된 신종자본증권은 발행금리 기준, 세전 연 5.2%대를 기록했다.
신종자본증권은 후순위보다 변제순위가 더 후순위인 '후후순위' 채권으로, 은행·금융지주사들은 자기자본비율(BIS) 규제를 충족시키기 위해 발행한다. 만기가 없는 영구채로 5년 또는 10년 뒤 발행사가 채권을 되사주는 '콜옵션' 조건이 붙는다. 예를 들어 5년콜인 경우 발행사가 옵션을 행사하게 되면 발행 후 5년만에 상환이 되는 형식이다.
은행·금융지주사 신종자본증권은 발행사에 위기가 발생할 경우 원금 상각 또는 이자 미지급 등의 이슈가 발생할 수 있지만, 업계에서는 대형 금융사의 경우 파산의 위험은 적은 것으로 보고 있다. 일반 기업이 발행하는 회사채 역시 금리 상승 영향으로 수익률이 높아졌다. 6월 9일 삼성증권 판매 기준으로 롯데하이마트가 발행한 '롯데하이마트7'(AA-) 채권의 경우 만기 1년에 개인 은행환산수익률은 세전 연 3.2%에 달했다. 신종자본증권과 회사채 모두 이자지급주기는 일반적으로 3개월로 짧은 것도 장점이다.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 등 절세가 중요한 투자자들은 발행 당시 액면가격보다 낮은 가격에 거래되는 저쿠폰 국채에 관심이 높다. 주식 매매와 마찬가지로, 채권 역시 매수가격과 매도 또는 만기 상환 가격 차이로 발생하는 매매차익은 비과세다. 금융투자소득세 도입 시 매매차익에 대한 과세 가능성이 존재한다. 삼성증권은 신종자본증권, 일반사채, 국채 모두 공식 앱 '엠팝(mPOP)'에서 매수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