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기(대표이사 경계현)가 5G 고용량 MLCC(적층세라믹캐패시터)를 개발해 다음달부터 글로벌 통신장비 거래선으로 공급하면서 변화하는 시장 수요에 맞춰 발 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이러한 영향으로 올해 실적 개선에 이어 내년에도 호실적이 이어질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삼성전기는 5G 통신 기지국용 고용량∙고전압 MLCC를 개발했다고 23일 밝혔다. 해당 제품은 3225크기(가로 3.2mm, 세로 2.5mm)에 10uF(마이크로패럿)의 고용량, 100V(볼트)의 높은 정격전압(전압에 손상되지 않고 견딜 수 있는 최고 전압)을 구현했다.
삼성전기가 23일 선보인 5G 기지국용 MLCC 모습. [사진=삼성전기]
주파수가 높아 기지국이 많이 필요하고 전력 소모량과 발열이 커지는 5G 통신의 특성상 부품 실장면적을 줄이고 안정적인 전원 공급을 위해서는 고용량 특성이 필수로 여겨진다. 삼성전기에 따르면 이번 5G 기지국용 MLCC는 저용량 MLCC 2~3개를 대체할 수 있어 부품 실장면적을 줄이면서도 외부의 충격과 진동에도 안전하게 제작됐다. 삼성전기는 5G 통신 기술 상용화로 기지국 장비 수요가 늘어난 만큼 고성능∙고신뢰도의 MLCC를 제조∙유통해 시장 경쟁력을 강화한다는 전략이다.
이러한 삼성전기의 고성능 MLCC 개발에 힘 입어 내년에도 삼성전기의 호실적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키움증권의 김지산 연구원은 “올해 4분기 MLCC의 산업용 수요 강세가 이어져 호실적이 기대된다”며 “내년에도 역대 최고 영업이익(1조7179억원)을 기록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MLCC는 내년 2분기부터 본격적인 회복 사이클에 접어들고 ADAS와 전기차 중심으로 MLCC산업이 성장해 갈 것으로 예상된다. 내년 초 스마트폰 신모델 효과에 힘입어 스마트폰용 MLCC의 수요가 반등할 것으로 평가된다.
삼성전기는 올해 3분기 누적 매출액 7조5361억원, 영업이익 1조1286억원을 기록했다. 전년비 매출액은 23.09% 증가했고 영업이익은 95.80%로 전년비 2배 가까이 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