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룸버그는 최근 ‘월가의 프로들은 코로나 공포에 압도된 반면 엄마와 아빠는 샀다’는 제목의 기고를 실었다.
이 칼럼은 “2008~2009년 금융위기 당시에도 전문가들은 팔고 아마추어들은 샀다”며 “증시 공황은 전문가들에 의해 만들어지고 있다”고 꼬집었다.
美 증시 개미 투자자 [사진=더밸류뉴스(SBS 캡처)]30일 월가에 따르면, 미국 증시에도 개인의 자금이 들어오면서 ‘개미가 사면 바닥이 아니다’는 증시의 속설을 놓고 의견이 분분하다.
월가의 분석가들은 약세장에 흔히 나오는 반등에 속아서 투자하면 결과가 좋지 않았다고 경고한다. 2000~2002년 약세장에서도 지수가 20%를 넘는 반등 랠리가 세 차례나 있었지만 결국 반 토막 났다는 것이다. 또 자력으로 주가가 상승했던 시기와 중앙은행의 유동성 지원으로 반등한 지금을 비교하는 건 무리라고 지적한다.
버핏이 가장 신뢰하는 투자자인 하워드 막스 오크트리캐피털 회장의 생각은 복잡하다. 그는 고객들에게 보낸 최근 편지에서 “바닥은 참여자들이 모두 항복하고 낙관론이 완전히 사라져야 나타난다”고 전제하면서도 “언제 바닥에 도달할 지 아는 것은 영원히 불가능하기 때문에 '바닥까지 기다리라'는 주장도 분명하게 거부한다”고 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