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총재 이주열, 사진)은 12일 통화신용정책 보고서에서 “코로나19의 확산 정도와 국내외 경제에 미치는 영향, 주요국의 통화정책 대응, 가계부채 증가세 등 금융안정 상황의 변화를 면밀히 점검하면서 완화 정도의 조정 여부를 판단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한은은 코로나19 사태에 따른 금융시장 변동성을 사스(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나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 때보다 더 크고, 회복 속도가 느리다고 스스로 진단을 내렸음에도 금리인하를 망설이고 있어 자칫 실기에 대한 책임을 다 지게될 우려를 낳고있다.
[사진=더밸류뉴스(MBC 캡처)]한은은 코로나19가 경제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해 “주가와 장기 시장금리가 모두 큰 폭으로 하락했으며, 반응 정도는 사스·신종플루·메르스 등 과거 사례에 비해 큰 편”이라고 분석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과거 감염병 사태 땐 금융시장이 충격을 받은 후 13거래일 이내에 직전 수준을 회복했다. 하지만 코로나19는 주가와 장기금리 모두 2개월째인 이달 들어서도 직전 수준을 크게 밑돌고 있다.
한은은 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대유행)으로 내수, 서비스·재화 교역, 제조업 생산 등 글로벌 경제에 미치는 악영향이 가중될 것으로 우려했다. 또 올해 한국의 경제성장률을 낮추는 요인으로 작용하며, 다른 감염병 사태 때보다 부정적 영향이 더 클 것이라고 예상했다.
한은은 12일 금융통화위원회에서 이런 내용이 담긴 통화신용정책 보고서를 의결하고 국회에 제출했다. 하지만 이러한 진단에도 불구하고 기준금리 전격 인하 움직임은 전혀 없었다. 한은이 ‘말 따로 행동 따로’ 하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