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시가 자율주행차 상용 서비스를 위한 첫 시동을 걸었다. 지난 7월 국내 최초 자율주행차 규제자유특구로 지정된 지 2개월 만에 현장점검을 통해 내년부터 시범 운행에 들어갈 계획이다.
30일 세종시와 중소벤처기업부는 세종시 4생활권 인근 간선급행버스체계(BRT) 도로에서 ‘세종 자율주행차 실증 규제자유특구 현장점검’을 했다고 밝혔다.
이날 현장점검에는 김학도 중기부 차관과 이춘희 세종시장, 국토부 등 관계부처와 특구사업자가 시범운행지역에서 기업이 개발하고 있는 자율주행차에 직접 시승해 참여했다. BRT도로 가운데 차량이 운행하지 않는 왕복 7.7㎞ 구간에서 현대자동차 쏠라티를 개조해 자율주행 핵심부품인 센서 12개를 장착한 자율주행차에 탑승해 안전성 전반에 대해 점검했다.
30일 세종시 자율주행차 규제자유특구 시범 운행지에서 김학도 중기부 차관(앞쪽)과 이춘희 세종시장(뒷쪽)이 현장 점검을 위해 차량에 탑승하고 있다. [사진=중소벤처기업부]
지금까지 자율주행차는 다른 차량과 함께 도로를 주행하거나, 공원 안에서 주행하는 것조차 불가능했다. 하지만 지난 7월 자율주행차 규제자유특구로 지정돼 BRT 일부 구간과 중앙공원 일부 지역 등에서 단계별 실증을 거치면 실제 승객이 탑승하는 자율주행버스 주행이 가능해진다.
중기부와 세종시는 1단계로 내년부터 자율주행차 시범운행을 통해 안전성과 사업화 가능성을 높여 나갈 계획이다. 이어 2단계로 2021년엔 실증구간과 서비스를 확대시켜 2022년 이후 본격적인 자율주행 서비스를 상용화할 계획이다.
세종시 규제자유특구 실증 단계별 계획. [사진=중소벤처기업부]
중기부는 이번 현장점검을 시작으로 지난 7월 지정된 7개 규제자유특구의 실증특례 이행과 안전대책 등을 점검·보완하기 위한 기술전문가, 관련 부처 관계자 등으로 구성된 ‘규제자유특구 현장점검반’도 운영할 계획이다.
김학도 중기부 차관은 "규제자유특구가 규제를 뛰어넘어 혁신을 위한 활로가 돼 신기술·신산업의 청사진을 우리에게 제시할 것"이라며 "국민 안전과 환경을 중시한 규제 혁신이 우선이므로 관계 부처, 지자체 등과 함께 점검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이춘희 세종시장은 "내년 연말에는 BRT 도로와 도심공원 내 시민들에게 자율주행셔틀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목표"라며 "성공적이고 안전한 실증을 통해 세종시를 '자율주행 상용화 거점 도시'로 육성해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