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상반기 코스피 상장사의 부채비율이 전년비 소폭 오르며 재무건전성이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자본총액보다 부채총액이 더 큰 폭으로 증가한 영향이다.
한국거래소. [사진=더밸류뉴스]
26일 한국거래소와 한국상장회사협의회에 따르면 12월 결산 코스피 상장사 636개사의 6월말 현재 부채비율은 108.75%로, 지난해 말보다 4.44%포인트(p) 상승했다.
부채비율은 부채총계를 자본총계로 나눈 값이며 기업 재무구조의 안정성과 건전성을 보여주는 지표이다. 현재 자본총계는 1245조840억원으로 2.90% 늘었지만 부채총계가 7.27% 증가해 1354조785억원으로 집계됐다.
유가증권시장 상장법인의 최근 부채비율 추이. [사진=한국거래소]
부채비율은 지난해 1분기 111.4% 이후 감소세를 유지하다 지난해 말 106.0%를 기록했다. 그러나 올 1분기에 110%를 넘어서면서 4개 분기 만에 증가세로 돌아섰다. 2분기에 다소 낮아졌지만 여전히 지난해 상반기보다 높은 수준이다.
특히 비제조업의 부채비율은 152.6%로 12.1%포인트 증가했다. 제조업은 92.2%로 1.5%포인트 상승했다.
부채비율이 100% 이하인 기업은 조사 대상의 54.1%인 344개사인 것으로 나타났다. 부채비율이 100%를 초과하고 200% 이하인 곳은 182개사(28.6%), 200%를 초과하는 곳은 지난해 말보다 22개사 증가해 110개사(17.3%)에 달했다.
세부 업종별로 부채비율이 높아진 업종은 ▲교육서비스, ▲부동산, ▲운수창고, ▲식료품 등 27개 업종이었다. 반면 부채비율이 낮아진 업종은 ▲과학기술 서비스, ▲전자부품·컴퓨터, ▲건설, ▲광업 등 10개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