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가용 가능한 수단을 총 동원해 금융시장의 불안정성을 신속하고 과감하게 대처하겠다고 강조했다.
7일 홍 부총리는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열린 긴급 거시경제 금융회의에 참석해 "정부는 앞으로의 상황을 냉철하게 주시하며 시장안정을 위해 총력을 기울일 것"이라고 밝혔다.
7일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서울 명동 은행연합회에서 열린 긴급 거시경제금융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기획재정부]
홍 부총리가 주재한 이번 회의는 일본의 수출 규제, 미국의 중국 환율조작국 지정 등으로 시장의 불확실성이 커진 상황에 대해 인식을 공유하고 대응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열렸다. 이 회의에는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를 비롯해 최종구 금융위원장, 윤석헌 금융감독원장 등 4개 정책당국자들이 참석했다.
이날 홍 부총리는 "대외적으로는 글로벌 경기 둔화 우려가 확대되고 미국의 금리 인하와 관련된 불확실성이 지속하는 가운데 미·중 무역갈등이 심화되면서 글로벌 증시가 전반적으로 약세를 보인다"며 "국내적으로는 대외 여건 악화에 따른 수출, 투자 부진 및 기업 실적 악화, 일본의 수출 규제 등이 어려움을 더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앞으로의 상황을 냉철하게 주시하며 시장 안정을 위해 총력을 기울일 것"이라며 "이미 준비한 비상계획에 기초해 증시 수급 안정 방안, 자사주 매입규제 완화, 공매도 규제 강화 등 가용 수단을 통해 시장 상황에 따라 적기에 신속하고 과감하게 대처하겠다"고 덧붙였다.
외환시장의 변동성 확대에 대해서는 각별한 경각심을 가지고 모니터링해 과도한 쏠림 등으로 시장불안이 발생할 경우 선제적이고 단호하게 조치를 해나갈 것이고, 경제가 활력을 되찾을 수 있도록 올해 하반기 투자, 수출 회복에 힘쓰겠다고 언급했다.
한편, 회의에 참여한 이주열 한은 총재 역시 “대외여건 전개 양상에 따라 시장이 수시로 불안정해질 가능성이 있어 정부와 협력해 시장 안정화 노력을 하겠다”며 홍 부총리와 비슷한 입장을 취했다.
아울러 “한국 경제에 대한 양호한 대외 신인도가 유지될 수 있게 해야 한다”며 “기업의 활력을 제고하고 거시경제를 안정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정부와 중앙은행이 함께 지혜를 모으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