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3대 국제신용평가사 중 하나인 무디스(Moody’s)가 한국의 국가신용등급을 Aa2(안정적)로 유지했다.
이날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무디스는 '연례 신용분석보고서'에서 "한국은 대외 수요 감소에도 불구하고 경제·재정적 강점이 건재하다"며 신용등급을 유지했다. Aa2는 전체에서 세 번째로 높은 등급이다. 프랑스, 영국, 홍콩 등과 같은 수준이다. 무디스는 2015년 12월부터 한국에 대해 같은 등급을 주고 있다.8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무디스는 ‘연례 신용분석보고서(Annual Credit Analysis)’에서 “대외수요 감소에도 불구하고 경제·재정적 강점이 건재하다”고 평가했다. Aa2는 전체에서 세번째로 높은 등급이며, 프랑스, 영국, 홍콩 등과 같은 수준이다. 대외 불확실성이 심화되는 상황에서도 글로벌 신평사의 한국 경제 전반에 대한 평가가 여전히 양호하다는 것이 확인된 셈이다.
서울 세종로 정부종합청사. [사진=더밸류뉴스]
무디스는 또 한국의 경제적·제도적·재정적 강점은 ‘매우 높음’, 리스크 민감도는 ‘보통’으로 진단했다. 견고한 경제‧재정 펀더멘탈이 불확실한 대외무역 전망에 대한 완충력(buffer)를 제공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북한 이슈는 신용등급 관련 주요 도전 과제다. 북한과의 군사적 대치 위험으로 한국엔 Aa 신용등급 국가에서 특이하게 두드러지는 리스크 민감도가 있다고 무디스는 평가했다. 이와 함께 빠른 인구 고령화에 따른 경제·재정 비용도 장기적 과제로 지목됐다.
무디스는 2015년 12월 19일 우리나라의 신용등급을 Aa3에서 Aa2로 상향조정한 이후, 현재까지 기존 신용등급을 유지하고 있다.
주요국 국가신용등급 비교. [사진=기획재정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