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진기 교수의 경제 이야기] 1조 원짜리 석사학위 논문 1조 원짜리 석사학위 논문을 쓴 사람이 있다면 일반 사람들은 매우 놀랄 것이다. 박사학위 논문도 아니고 석사학위 논문이 어떻게 1조 원이나 될 수 있느냐고 반신반의하면서 그게 도대체 어떤 논문이냐고, 더 나아가 진짜로 있는 이야기인가 하고 물어볼 것이다. 학력이 인플레 되고 세상에 정보가 넘쳐나면서 사람들은 지식의 가치를 우습... 2018-07-16 윤진기
-
[윤진기교수의 경제 이야기] 프랑스 포도원 샤또의 상속세에 대한 오해 포도원을 프랑스에서는 샤또(château)라고도 하는데, 작은 샤또들은 가족단위로 운영된다. 최근 부동산 가격이 오르자 그 주인이 사망하고 상속세를 내려면 샤또를 팔아야 세금을 마련할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20년 전에 10억 원에 산 샤또가 20배가 뛰어 200억 원으로 되었기 때문이다. 프랑스에서는 상속 대상이 토지인 경우, 대략 우리 돈으로 1억 원 초과분에 대해서는 45%의 상속세를 내야 한다. 2018-07-09 윤진기 교수
-
[윤진기교수의 경제 이야기] 스위스에서는 몇 사람이나 상속세 부과에 반대했을까? 스위스는 돈을 매우 소중하게 여기는 사람들이 살고 있는 나라 중에 하나다. 스위스 사람들은 돈에 관한 생각이 매우 철저하다. 그래서 금융업이 매우 발달했다. 필자가 2013년 스위스 로잔(Lausanne)에 갔을 때 언덕 위에 세워져 있는 도시를 보면서 산비탈에도 이렇게 도시를 만들 수 있구나 하고 감탄한 적이 있다. 스위스는 국토의 대부분이 ... 2018-06-26 윤진기
-
[윤진기교수의 경제 이야기] 숫자로 본 독점규제의 딜레마 현재 경제 분야에서 이름깨나 있다는 나라치고 독점을 규제하지 않는 나라는 없다. 오늘날 독점을 규제하는 이유는 독점이 시장에서 자유롭고 공정한 경쟁을 방해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시장경제 체제에서는 경제주체들이 자유롭게 경쟁하되 공정하게 경쟁하면 경제가 성장하고 기업이 발전한다는 가정을 전제로 한다. [사진 = 픽사... 2018-06-11 윤진기
-
[윤진기교수의 경제 이야기] 국토가 넓고 인구가 많아야 대기업이 많을까? 4차 산업혁명 시대에는 소수의 거대 기업이 산업을 지배할 것으로 예측되기 때문에 거대기업의 존재가 바로 국가경쟁력이 된다. 사람들은 국토가 넓고 인구가 많아야 거대기업이 존재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는데, 사실과는 많이 다르다. 국토가 좁고 인구가 적어도 거대기업이 많이 존재할 수 있다. 2017년 포브스(Forbes)가 선정한 100... 2018-06-05 윤진기
-
[윤진기교수의 경제 이야기] 경제 민주화 주장을 숫자로 풀이하면? 경제민주화란 개념이 지난 수년간 우리 사회의 중요한 화두가 되어 오다가 이번 정부의 헌법개정안 속에 이 조항의 개정안이 담겨져 있어 더 큰 주목을 받았다. 경제민주화란 개념이 헌법에 규정되어 있기는 하지만 해석하기가 쉽지 않은 다소 모호한 개념이다. 경제민주화가 규정되어 있는 헌법 제119조 제2항은 다음과 같다. 제119조 ②... 2018-05-28 윤진기
-
[윤진기교수의 경제 이야기] 수학이 비행기를 만들었다 오래 전의 일이다. 필자가 미국 텍사스 주 오스틴에 있을 때이다. 필자에게 아주 감동을 준 TV 프로가 있었다. 어린이들에게 수학을 가르치는 프로였는데, 내용이 쉽고 만만하여 채널을 고정시키고 재미있게 보고 있는데, 놀라운 말이 튀어나왔다. Math made the plane. 수학이 비행기를 만들었다. ‘the plane’이 날라 다니는 기계 장치를 통... 2018-05-21 윤진기
-
[윤진기교수의 경제 이야기] 당기 유보율 개념을 사용하자 유보율은 누적 개념이기 때문에 오래되고 비즈니스 모델이 좋은 기업의 경우에 높게 나오는 것이 정상이다. 유보율은 사내유보율이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정작 일 회계연도를 기준으로 한 회계연도 동안 얻은 당기순이익을 배당을 하고 회사 내에 유보하는 비율을 지칭하는 적절한 용어가 보이지 않는다. 순이익유보율(earnings retention ratio... 2018-05-14 윤진기
-
[윤진기교수의 경제 이야기] 유보율 높으면 회사에 현금이 많을까? 유보율은 현재까지 누적된 잉여금이 자본금보다 얼마나 많은 상태인지 그 비율을 나타낸다. 회사의 잉여금은 이익잉여금과 자본잉여금으로 구성되어 있고, 유보율은 이것을 자본금으로 나눈 값이다. 공식으로 표시하면 아래와 같다. 유보율 = (이익잉여금+자본잉여금)/자본금×100(%) 이익잉여금 = 회사 창립 시부터 발생한 당기순이익의 ... 2018-05-07 윤진기 교수
-
[윤진기교수의 경제 이야기] 2016년 30대 기업 평균 유보율 8682%, 왜 그렇게 높을까? 작년(2017년)에 신문과 국정감사에서 유보율에 관한 비판이 있었다. 기자나 국회의원들이 주장하는 요지는 “국회 자료에 따르면 2016년 회계연도 기준 30대 기업 사내유보율은 평균 8682%에 이르기 때문에 기업의 유보율이 너무 높아서 현금이 넘치는데 투자는 하지 않고 있어서 법으로 규제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비판이 과연 ... 2018-05-02 윤진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