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더밸류뉴스=김승범 기자 ]

[김승범 연구원]

상장제약기업들은 올 1분기에 매출은 물론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이 두자릿수 증가하는 등 성장성을 가져온 가운데, 파스를 생산하는 신일제약도 1분기 호실적을 기록하며 좋은 분위기를 이어갔다.

신일제약은 개별 기준 1분기 영업이익이 31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1.9% 늘었다. 같은 기간 131억원의 매출액으로 전년동기대비 20.8% 증가했고, 당기순이익은 15.6% 늘어난 26억원으로 집계됐다.

특히 신일제약의 영업이익률 부분이 강점으로 부각되고 있다.

메디파나뉴스가 12월말 결산 65개 상장제약사들의 2016년도 1분기 보고서를 종합한 결과,  영업이익률은 평균 7.3%인 것으로 분석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0.7% 늘어났다. 이는 곧 천원어치를 팔아 73원을 남긴 영업을 했다는 얘기다.

하지만 신일제약은 무려 23.7%의 영업이익률을 기록했다. 지난해 21.8%의 영업이익률보다 1.9% 늘어난 것이다. 올해 1분기 순이익률도 20.0%로, 전체 6개의 기업만이 20% 이상의 수익률을 보였다.

신일제약의 매출액은 증가했지만 판매비와 관리비(27억원) 등을 줄였기 때문에 높은 영업이익률과 순이익률을 기록할 수 있었던 것으로 풀이된다. 또한 제품 및 상품 매출액에서 매출원가(73억원)가 차지한 비중은 55.8%으로 낮은 편은 아니였다.

 

그렇다면 신일제약은 어떤 상품을 판매하며 강점을 보였을까?

신일제약은 1971년 설립된 전문의약품 주력의 중소형 제약업체로, 2016년 1분기 기준 매출 비중은 의약품 부문 95.8%, 건강기능식품 부문 1.9%, 화장품 부문 1.5%, 기타 0.8%이다. 대부분 매출이 의약품 부문에서 발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매출 비중

주요 제품으로는 「디펜 플라스타」로 전체 매출 비중의 9.1%를 차지한다. 디펜 플라스타는 국내 소비자뿐만 아니라 중국인들에게도 큰 인기를 끌면서 판매량이 늘어난 것으로 분석된다.

가동률

중국인들의 디펜 플라스타에 대한 인기는 평균 가동률이 늘어나는데 가장 큰 역할을 했다. 신일제약은 2014년과 2015년 사업보고서에서도 「플라스타제/페취제의 경우 추가로 인력을 투입하여 가동하였습니다」라는 내용을 담고 있다. 그에 따라 2015년 파스와 관련해 약 40억원 규모 추가 증설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이번에 또다시 가동률 120%를 기록한 것이다.

OEM 수주 증가 및 자체 브랜드의 높은 판매량으로 올해 5월 공장 증설을 시행했다. 지난 13일 신일제약은 기존 제품의 생산능력 향상과 신규 제품의 생산시설 확보를 위해 93억원을 투자하기로 한 것이다.

신일제약의 93억원은 결코 작은 금액이 아니다. 지난해 개별기준 자기자본의 11.90%에 해당하는 금액일 뿐만 아니라, 부채비율 11.63%로 사실상 무차입 경영을 하는 신일제약 입장에서는 큰 액수의 금액임에는 틀림없다.

 

신일제약이 공격적으로 투자를 늘리는 이유는 무엇일까?

한마디로 신일제약의 디펜 플라스타가 중국 시장에서 인기를 끌고 있기 때문이다.

GOODS2_136065786420160107180432

이정기 하나금융투자 스몰캡팀장은 『국내 파스 제조업체들의 중국 파스 시장 수출 물량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며 『인구 고령화가 가속화되면서 류머티즘 및 관절염 등 골격 및 근육부위 통증 환자수 증가로 외용진통제 시장의 성장 추세가 가파르게 나타나고 있고 「케토프로펜」 제제가 사용된 파스제품이 중국에서는 전문의약품으로 분류돼 일반의약품으로 등록된 국내 및 일본 등에서 구입을 확대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이 팀장은 『신일제약의 디펜 플라스타 매출은 2013년 13억원에서 2014년 39억원, 2015년 56억원 등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으며 중국 파스시장 성장에 따른 수혜가 예상된다』고 설명했다.

 

지난해에는 따이공(보따리상, 수입업자)이 명동 등 주요 중국인 관광지 내 약국에서 디펜플라스타를 사재기를 하는 등 중국 내에서 입소문을 타면서 타오바오몰에서 개인 사업자들이 티펜 플라스타를 판매하기 시작했으며, 티몰·징동닷컴 등에서도 도매 사업자들이 티펜플라스타 판매자에 이름을 올리기도 했다.

QMemo+_2014-11-12-12-57-34-1-1

또한 중국 현지 소비자들이 자국 제품을 불량품으로 인식하고 외국 제품을 상대적으로 고급 상품으로 보는 경향도 신일제약 파스 판매에 좋은 영향을 끼쳤다. 게다가 근육통 및 관절염에 시달리고 있는 20~30대와 실버 노년층에서 인지도가 조금씩 늘고 있는 점도 긍정적이다.

업계 관계자는 『명동 등 지역 약국의 효자 상품이 파스』라며 『중국 관광객이 파스를 사들이면서 관련 업체들의 매출이 눈에 띄게 늘어나고 있는 상황이며, 따이공 규제도 완화되면서 판매 추세는 지속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Copyrigh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ihs_buffett@naver.com

[저작권 ⓒ 더밸류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0
기사수정
  • 기사등록 2016-05-30 16:30:00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버핏연구소 텔레그램
4차산업더보기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